Page 15 - ele_science_3-1
P. 15

추리, 의사소통



                       관찰 결과, 이전의 경험,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탐구 대상의 보이지

                     않는 현재 상태를 생각하는 것을 추리라고 합니다. 탐구 대상을 주의 깊게 관찰

                     하고 정보를 많이 얻을수록 더 정확하게 추리할 수 있습니다.

                       관찰하고 생각한 것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고, 다른 사람과 생각이나 정보를

                     주고받는 것을 의사소통이라고 합니다. 의사소통할 때에는 말, 글, 그림, 기호, 몸짓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당에서 일어난 일
                                                  족제비이다.                            도망치자.




                                                                           살았다.





                         산에 살고 있는 족제비는 겨울이 되자 먹이가 부족했습니다. 먹이를 찾아
                       마을까지 내려온 족제비는 닭을 사냥하려고 집 마당에까지 들어왔습니다.

                         족제비를 보고 놀란 닭이……
                                                           일어난 일을                    제가 발표
                                   발표를 듣고                어떻게 설명해야                    하겠습니다.
                                   궁금한 점은                듣는 사람이 쉽게
                                  질문해야겠어.                  이해할까?


















                                                                    추리와 의사소통을 잘하려면?
                                                         추리할 때에는 관찰한 사실을 자신의 경험이나 지식과 연결해야
                                                        합니다.
                                                         의사소통할 때에는 말하고 싶은 내용을 듣는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야 합니다.




                                                                                          과학 탐구 시작하기       13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