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8 - ele_science_4-2
P. 48

물 표면에서 액체인 물이 기체인 수증기로 상태가 변하는 현상을

                                   증발이라고 합니다. 입구를 막지 않은 비커 안에 든 물의 양이 줄어

                                   드는 까닭은 물이 증발하여 공기 중으로 흩어졌기 때문입니다.











                                                                                     물이 증발하여
                                                                                  젖은 빨래가 마르는 모습








                                     물을 가열하면 처음에는 표면의 물이 증발합니다. 물을 계속 가열

              기포                   하면 물속에서 기포가 생기는데, 이 기포는 물이 수증기로 변한 것
           기포는 액체나 고체에 둘러
           싸인 기체 방울입니다.            입니다. 이처럼 물 표면과 물속에서 액체인 물이 기체인 수증기로
                                   상태가 변하는 현상을 끓음이라고 합니다. 물이 끓을 때에는 증발할

                                   때보다 수증기로 더 빨리 변해 물의 양이 빠르게 줄어듭니다.





                                            물이 끓는 모습









                                            물
                                         수증기



















           46       2. 물의 상태 변화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