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3 - ele_science_4-2_tutor
P. 303
➌ 화강암과 현무암의 생성 과정 알아보기 2 다음 중 화강암과 현무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 화강암과 현무암은 각각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것은 어느 것입니까? ( ⑤ )
- 화강암은 마그마가 땅속 깊은 곳에서 식어서 만들 ① 화강암은 색깔이 밝다. 4
어집니다. ② 현무암은 색깔이 어둡다.
단원
- 현무암은 마그마가 땅 위나 지표 근처에서 식어서 ③ 화강암에는 반짝이는 알갱이도 있다.
만들어집니다. ④ 현무암은 표면에 구멍이 없는 것도 있다.
오개념 지도 화성암의 생성 장소와 종류 ⑤ 화강암은 현무암보다 암석을 이루는 알갱이의 크
이 차시에서는 화성암 중 화강암과 현무암만을 다루고, 두 암석의 생 기가 작다.
성 장소를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때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평가 목표 화강암과 현무암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식으면 모두 화강암이 되고, 지표 근처에서 식으면 모두 현무암이 된
화강암을 이루는 알갱이는 커서 맨눈으로 구별
다는 오개념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지도 사항 할 수 있지만, 현무암을 이루는 알갱이는 작아서
돋보기로도 구별하기 어려움을 지도한다.
정리
풀이 화강암은 현무암보다 암석을 이루는 알갱이의 크기가 크다.
화강암과 현무암 정리하기
3 화강암과 현무암이 만들어지는 장소를 각각 설명해
확인해요 봅시다.
1 화강암은 현무암보다 암석을 이루는 알갱이의 예시 답안 화강암은 땅속 깊은 곳에서 만들어지고, 현무암은 땅
크기가 ( 큽니다, 작습니다 ). 위나 지표 근처에서 만들어진다.
2 사고 화강암과 현무암 평가 목표 화강암과 현무암의 생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중 오른쪽과 같은 돌하 평가기준 배점(%)
르방을 만드는 암석을 화강암과 현무암의 생성 장소를 모두
100
고르고, 그렇게 생각한 유의 사항 옳게 설명한 경우
까닭을 설명해 봅시다. 화강암과 현무암의 생성 장소 중 한 50
가지만 옳게 설명한 경우
지도 방향 돌하르방 표면 사진에서 색깔, 알갱이의 크기
풀이 화강암과 현무암은 만들어지는 장소가 다르다.
등을 살펴보고 어떤 암석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예시 답안 현무암, 돌하르방의 표면을 관찰하면 색깔이 어
둡고 암석을 이루는 알갱이의 크기가 작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풀이 현무암은 돌하르방을 만드는 데 이용된다.
➊ 화성암의 분류
마그마의 성분(SiO_2 함량) 염기성암 산성암
중성암
형성 평가 조직 (52`% 이하) (66`% 이상)
화산암 세립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1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봅시다.
반심성암 ←―→ 휘록암 섬록 반암 화강 반암
심성암 조립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마그마가 식어서 만들어진 암석을 ( )
(이)라고 한다.
➋ 화강암과 현무암의 분포와 이용
( 화성암 ) 화강암은 우리나라 전반에 풍부하게 분포하여 구하기
평가 목표 화성암의 뜻을 설명할 수 있다. 쉽고 내구성이 강하기 때문에 건축 재료로 많이 사용되
화강암과 현무암은 마그마가 식어서 만들어진 어 왔다.
지도 사항
화성암의 한 종류라는 것을 알게 한다. 현무암은 제주도, 강원도 철원, 울릉도 등에 다량 분포
풀이 마그마가 식어서 만들어진 암석을 화성암이라고 한다. 하며, 역시 벽돌이나 바닥재 같은 건축재로 사용된다.
1 화산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