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5 - ele_science_5-1_tutor
P. 335
조작 변인
독립변인
통제 변인
변인
종속변인
▲ 변인의 종류
⑷ 자료 변환(data transformation): 자료 변환은 관찰이나 측정 결과로 얻어진 자료를 기
록하고, 얻은 자료를 해석하기 위해 표, 그래프 등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자료 변환을
통해 많은 양의 자료가 의미하는 규칙성이나 경향성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표를 만들
때에는 일반적으로 가로줄에 다르게 한 조건(조작 변인)을 쓰고, 세로줄에 그에 따른 결과
(종속변인)를 기록한다. 학생들이 그래프에 익숙하지 않으면 자료를 변환하여 작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그래프의 의미와 작성 방법을 안내할 필요가 있다. 그래프에는
막대그래프, 선그래프, 원그래프 등이 있다.
▲ 막대그래프 ▲ 선그래프 ▲ 원 그래프
⑸ 자료 해석(in&terpreting data): 자료 해석은 넓게는 관찰, 실험, 조사 등을 통해 수집한
모든 자료를 분석하여 자료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고 설명하는 과정이다. 좁게는 표, 그래프
등을 읽고 그 의미를 이해하며 의미 있는 관계나 경향을 찾아내는 과정도 자료 해석이다.
⑹ 결론 도출(draw conclusion): 결론은 탐구 문제에 대한 확정적 언급이며, 결론 도출은
자료 해석을 바탕으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거나 가설에 대해 판단하는 과정이다. 결론
도출 과정에서 자료의 의미를 결정할 수 있으며, 탐구 문제가 간단한 경우 자료 해석과 결
론 도출이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의 온도에 따라 용질이 용해되는 양이 달라질까?’
라는 문제를 탐구하려고 물의 온도를 달리하면서 백반이 용해되는 양을 관찰한 경우를 생
각해 보자. 물의 온도를 조작 변인으로 하고, 백반이 물에 용해되는 양을 종속변인으로 하
여 막대그래프를 그릴 수 있을 것이다.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자료를 해석해 차가운 물보
다 따뜻한 물에 백반이 더 많이 용해된다고 말할 수 있고, 이 경우 이것은 탐구 문제에 대
한 결론이라고 할 수 있다.
실험 결과나 자료를 종합해 탐구 문제에 대한 답을 도출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햇빛은 식물이 자라는 데 영향을 미칠까?’라는 문제를 탐구하려고 햇빛을 받는 시간을 달리
하며 강낭콩 잎의 크기와 색깔, 높이 변화를 일정 기간 동안 관찰했다고 하자. 강낭콩이 햇
빛을 받는 시간은 조작 변인이고, 종속변인은 잎의 크기와 색깔, 식물의 높이 두 가지이다.
2. 과학 탐구 과정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