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7 - ele_science_6-1_tutor
P. 327
⑷ 추리: 추리는 사물, 현상 등을 관찰한 결과를 논리적으로 해석하고 설명하는 과정이다. 추
리는 반드시 관찰에 근거해야 하므로 증거가 없거나 아주 적을 때 만들어진 의견인 단순
한 추측과 다르다. 추리는 직접 관찰한 사실과 이전에 알고 있던 지식이나 경험했던 사실
들을 연관시키는 과정을 거치므로 같은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하고도 관찰자에 따라 다르
게 추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전 지식이나 경험이 많고 정확할수록 정확한 추리를 할 수
있다.
추리 활동의 예
•이슬, 안개 발생 실험하기(『과학』 5학년 2학기 3단원)
•광합성으로 생기는 물질 확인하는 실험하기(『과학』 6학년 1학기 5단원)
• 지구 자전축 기울기에 따른 계절별 태양의 남중 고도 비교하기(『과학』 6학년 2학기 2단원)
⑸ 예상: 예상은 관찰이나 측정 결과에 기초해 규칙성이나 경향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
로 하여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미리 판단하는 과정이다. 예상은 관찰, 분류, 추리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관찰과 이에 근거한 분류나 추리를 통해 규칙성을 찾으면 앞으로 어
떤 일이 일어날지 예상할 수 있다. 주어진 자료의 바깥 부분을 예상하는 것을 ‘외삽’이라고
하며, 주어진 자료의 빠진 부분을 예상하는 것은 ‘내삽’이라고 한다.
예상 활동의 예
•국립 공원 생태계의 변화 알아보기(『과학』 5학년 2학기 2단원)
•씨가 퍼지는 방법 조사하기(『과학』 6학년 1학기 4단원)
⑹ 의사소통: 의사소통은 자신의 생각이나 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 다른 사람의 생
각이나 정보를 이해하는 과정이다. 의사소통은 말과 글, 몸짓뿐만 아니라 표, 그림, 그래
프 등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탐구 보고서를 작성하고 다른 사람의 탐구 보고서를 읽는 것
도 의사소통이라고 할 수 있다. 의사소통은 탐구 과정 기능에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
데, 일반적인 언어 능력으로서의 의사소통과 중복되는 측면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
학 학습에서도 사회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탐구 결과를 의사소
통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의사소통 활동의 예
•생태계 보전을 위한 실천 방안 토의하기(『과학』 5학년 2학기 2단원)
•식물 역할놀이 하기(『과학』 6학년 1학기 4단원)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 방법 제안하기(『과학』 6학년 2학기 5단원)
2. 과학 탐구 과정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