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9 - ele_society_5-1_tutor
P. 169
교과서 48~49 쪽
➍ 아! 그렇구나 _ 우리나라의 연도별 강수량 변화 1
• 그래프에서 강수량이 가장 많았던 해는 언제입니까?
우리나라는 계절에 따른 강수량의 차이도 크다. 대부분 지역에서 강수량에 따른 사람들의 생활 모습 단원
태풍 적도 근처에서 발생하여 장마와 태풍의 영향으로 연평균 강수량의 절반 이상이 여름에 집중되며, 우리나라는 지역에 따라 강수량의 차이가 커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 2011년에 1,623 mm로 가장 많았습니다.
중위도 지역으로 이동하며,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몰고 옴. 겨울에는 강수량이 적다. 울릉도, 영동 지방 등은 눈이 많이 내려서 겨울 다양하게 나타난다.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터돋움집을 지었으며,
에도 강수량이 많은 편이다. 비가 적게 오는 해안 지역에서는 염전을 만들었다. 눈이 많이 내리는 울릉도 • 연도별 강수량이 달라지는 까닭은 무엇인가요?
에서는 우데기라는 외벽을 설치하였다. 또한 우리나라는 계절에 따른 외벽 건물 바깥쪽에 있는 벽.
우리나라 여러 지역의 월별 강수량 강수량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가뭄에 대비하여 저수지를 만들었다. – 장마가 이어지는 기간, 태풍의 통과 횟수와 강도,
중강진 (mm) *1981~2010년 평균값 (mm) *1991~2020년 평균값 강수의 발생 정도가 해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중강진 (mm) 400 중강진 *1981~2010년 평균값 (mm) 400 서울 *1991~2020년 평균값 염전
400 중강진 400 서울 터돋움집
동 해 300 300
동 해 울릉도 300 300
서울
울릉도
황 해 서울 200 200 ➎ 강수량에 따른 사람들의 생활 모습 살펴보기
황 해 200 200
100 100
남 해
남 해 서귀포 100 100
서귀포 0 0 • 강수량은 사람들의 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요?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월)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월)
(mm) *1991~2020년 평균값 (mm) *1991~2020년 평균값
(mm) 400 울릉도 *1991~2020년 평균값 (mm) 400 서귀포 *1991~2020년 평균값 – 비가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터돋움집을 지었습니다.
400 울릉도 400 서귀포
울릉도는 눈이 많이 내려
겨울철 강수량이 많으며, 일 년 300 300 300 300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집이 물에 잠기는 비가 적게 내리는 해안 지역에서는 바닷물을 증
내내 강수량이 고른 편이야. 것을 막기 위해 집터를 높게 올린 후 집을 짓는다. 발시켜 소금을 얻는다. – 비가 적게 오는 해안 지역에서는 염전을 만들어 소
200 200
울릉도는 눈이 많이 내려 200 200
울릉도는 눈이 많이 내려
겨울철 강수량이 많으며, 일 년
겨울철 강수량이 많으며, 일 년 100 100 100 100 우데기 저수지 금을 얻었습니다.
내내 강수량이 고른 편이에요.
내내 강수량이 고른 편이야. 0 0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월)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월)
[출처: 기상청, 2021]
[출처: 기상청, 2021]
– 눈이 많이 오는 울릉도에서는 우데기라는 외벽을 설
우리나라의 연도별 강수량 변화
치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 연도별 강수량
강수량(mm)
2,000
그래프를 살펴보면 2011년에 1,623 mm로 – 가뭄에 대비하여 저수지를 만들었습니다.
1,623 1,591
1,479
1,500 1,387 강수량이 가장 많았으며, 2015년에 949 겨울철 울릉도에서는 눈이 집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물이 부족할 때를 대비하여 하천이나 골짜기를 막
1,163 1,174 1,273 1,172 mm로 강수량이 가장 적었다. 막고, 집 안에서 생활하기 편리하도록 외벽을 설치하였다. 아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모아 두는 시설을 만들었다.
1,000 949 968
우리나라는 장마가 이어지는 기간, 태
500 풍의 통과 횟수와 강도, 강수의 발생 정도 정리
가 해마다 달라 연도별 강수량의 변화가
0 1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대체로 줄어든다. ( ◯, × )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년)
[출처: 기상청, 2021] 크게 나타난다. 2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에서는 연평균 강수량의 절반 이상이 ( )에 집중된다.
학습 내용 정리하기
49 • 우리나라 강수량의 특징을 정리해 봅시다.
48 국토와 우리 생활 2. 우리 국토의 자연환경 49
확인해요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은 강수량이 많습니다.
– 영남 내륙 지방이나 대동강 하류 지역은 상대적으로 ①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대
강수량이 적습니다. 체로 줄어든다. ( ◯, × )
②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에서는 연평균 강수량의 절반
➋ 탐구해요 _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
이상이 ( 여름 )에 집중된다.
1. 연평균 강수량이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을 살펴보자.
차시 예고하기
활동 안내 지도에서 연평균 강수량이 많은 제주도와
• 다음 시간에는 우리나라의 자연재해를 공부하겠습니다.
남해안 지역, 연평균 강수량이 적은 영남 내륙 지방이
나 대동강 하류 지역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게 한다. 판서하기
2. 내가 사는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을 조사해 보자. 1. 우리나라 강수량의 특징
예시 답안 강릉 1444.9 mm(1991~2020년 평균값) 남쪽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대체로 줄어듦.
대부분 지역에서 연평균 강수량의 절반 이상이 여
➌ 계절에 따른 우리나라 강수량의 특징 알아보기 름에 집중됨.
울릉도, 영동 지방 등은 눈이 많이 내려서 겨울에도
• 우리나라는 계절에 따라 강수량이 어떻게 달라질까요?
강수량이 많음.
– 장마와 태풍의 영향으로 연평균 강수량의 절반 이상
2. 강수량에 따른 사람들의 생활 모습
이 여름에 집중되며, 겨울에는 강수량이 적습니다.
터돋움집, 염전, 우데기, 저수지 등 지역의 강수량
– 눈이 많이 내리는 울릉도, 영동 지방 등은 겨울에도
에 따라 여러 가지 시설물을 만들었음.
강수량이 많은 편입니다.
국토와 우리 생활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