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7 - ele_society_5-2_teacher
P. 107
내용 ➋ 독립 협회의 설립과 활동
정리 • 일본과 러시아의 간섭이 심해지자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창간함. →
개혁의 필요성을 널리 알림.
•서재필이 독립 협회를 조직함. → 국민의 성금으로 독립문을 건립함.
• 독립 협회가 서울 종로에서 만민 공동회를 개최함.
보충 설명 독립문의 ‘독립’ 의미
독립문의 건립 당시 ‘독립’이라는 말의 의미는 일제로부터의 독립이 아니라 청
으로부터의 독립이었습니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그 ‘독립’이라는 말을 처음 쓴
것은 일본이었습니다. 강화도 조약문에 일본은 조선이 독립국이라는 구절을
넣을 것을 강요하였고, 일본의 간섭을 받은 갑오개혁의 「홍범 14조」에도 독립
이라는 말이 포함되었습니다. 일본이 조선의 독립을 이야기한 것은 중국 중심
의 질서를 해체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조선인 가운데 이러한 주장에 동조한 사
람들이 독립 협회를 결성하고 독립문 건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습니다.
독립문(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독립 협회는 자주독립의 상징으로 독립문을 세웠다.
자주독립을 위한 독립 협회의 활동
일본과 러시아의 간섭이 점점 심해지자, 서재필은 『독립신문』을 펴
내 개혁의 필요성을 널리 알렸다. 또한 독립 협회를 조직하여 자주독
립을 강조하고, 국민의 성금을 모아 독립문을 세웠다.
독립 협회는 서울의 종로에서 ‘만민 공동회’를 열었다. 만민 공동회
는 양반뿐만 아니라 신분이 낮은 사람들까지 한자리에 모여 누구나 사
회나 정치 문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밝힐 수 있었다. 이 자리에서
사람들은 외세의 간섭과 낡은 사회 제도를 비판하였다. 한글로 발간된 『독립신문』
수업 제안
나는 대한에서 가장 천하고 인터넷을 이용하여 현대어로 번역해 놓은 『독립신
무지한 사람입니다. 문』의 기사를 찾아 읽어 보면서 『독립신문』 창간의
그러나 나라를 사랑하는 뜻은 대강 알고 있습니다. 목적을 살펴보고,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당시 신문
관리와 백성이 힘을 합쳐 황제의 은혜에 보답하고 이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나라가 만년 동안 이어지게 합시다.
- 백정 박성춘의 연설 -
1.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