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1 - ele_society_6-1_teacher
P. 121
수업 제안
정부는 저임금 정책과 더불어 노동자의 생계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저곡가 정책을 펼쳤습니다. 이로 인해 농민들도 많은 희생을 감수
해야 했습니다. 이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노동 문제
정부와 기업은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려고 노동자의 임금을 가격 경쟁력 상품의 품질이
비슷한 상품끼리 경쟁하는 경
계속 낮게 유지하고, 노동 조건 개선을 요구하는 노동자의 목소리를 우 가격을 낮게 매겨 상대편보
다 이익을 더 얻는 능력.
억압하였다. 그 결과 많은 노동자가 열악한 근무 환경에서 낮은 임금
품질이나 능력, 시설 따위가 매우 떨어지고 나쁨.
을 받고 오랜 시간 일을 해야 했다.
노동자들은 자신의 처우를 개선하려는 운동을 끊임없이 전개해
나갔다. 이들의 노력은 점차 노동 조건이 향상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도움 영상 전태일
1970년 ‘근로 기준법 준수’를 외치며 분신한 평화 시장 재단사 전태일의
활동과 이후 활발해진 노동 운동의 모습을 보여 주며 당시 경제 성장 과정
에서 희생되었던 노동자들의 아픔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는 영상입니다.
일
많
선 이
임 진 하
금 국 고
10 비 돈
교
20 주 적 산업 재해 늘고 안전 관리 소홀
% 11 게 작년 한 해 11만 6천 명에 1천여 명 사망
밖 시 받
에 간 는
안 더 한
돼 하 국
고 근
로
자
『매일경제』, 1978. 6. 14.
『조선일보』, 1977. 11. 25.
보충 설명 열악한 노동 환경
근로 기준법을 노동자들의 노력으로 경제가 크게 성장하였지만, 당시 임금 즉시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 환경 속에서 적은 임금을 받고
준수하라! 장시간 노동을 해야 했습니다. 근로 기준법이 있었으나 인상하라!
지켜지지 않았고, 안전 관리에 소홀하여 일하는 도중에
다치거나 사망하는 노동자들의 숫자도 많았습니다.
보충 설명 전태일
왼쪽 그림은 1970년대 이후 노동 운동에 큰 영향을 준
전태일의 모습을 보여 줍니다. 전태일은 1970년에 서울
동대문 평화 시장에서 “근로 기준법을 준수하라!”, “우리 2. 경제생활의 변화와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 121
는 기계가 아니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분신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