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7 - ele_society_6-1_tutor
P. 97

나. 수행 평가

                                     수행 평가는 학생들의 과제 수행 과정과 결과를 알아보는 평가 방법으로, 전통적인 지
                                    필 평가의 한계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다양한 대안적 평가 방법들을 포괄하
                                    는 개념이다. 수행 평가는 수행 과정이나 결과물을 통해 학생의 전체적인 성장 과정을 알
                                    아보는 평가로서, 이를 위해서는 면접, 토론, 논술, 관찰, 보고서,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된다. 수행 평가는 단순히 지식의 기억 여부가 아니라 지식의 적용 능력, 배

                                    운 지식과 현실 문제 사이의 연결 능력, 복합적이고 고차적인 사고 능력, 자신의 수행 과
                                    정과 결과에 대한 언어 또는 문서 형태로의 표현 능력 등을 평가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수행 평가의 여러 방법 중에서 ‘실제적 생활 문제(real-life tasks)’를 매개로 학생들의 수행
                                    과정과 성취 정도를 알아보는 평가를 ‘참평가’라 부르기도 한다.


                                     면접

                                     면접은 교사가 학생과 개별로 대화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면접은 교사와 학생의 묻고 답하는 과정을 평가하는 구술시험과 유사하지만, 구술시험은
                                    주로 특정 주제에 대한 인지적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이고, 면접은 대화에 응하는 자세,
                                    어떤 문제에 대한 가치나 태도, 행동 실천의 의지 등 정의적 영역이나 행동적 영역을 평

                                    가하는 방법이다.

                                     토론

                                     토론은 어떤 주제나 문제를 놓고 학생들이 토론하는 과정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토론은
                                    해당 주제나 문제에 관한 탐구 능력, 비판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등의 고차적인 사고력

                                    뿐만 아니라 토론 과정에서 드러나는 동료들과의 의사소통 능력, 협동 능력,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 관심과 참여의 적극성 등 활동의 과정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데
                                    유용하다. 토론 평가의 평가 기준을 예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평가 기준 예시>

                                       평가 요소            배점             상              중              하
                                      주제 이해도

                                      관심 / 참여도
                                      모둠 내 협동

                                      모둠 간 반론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
                                      토론의 자세

                                         총점             100



                                                                                             4. 사회과의 평가 방법  95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