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6 - ele_society_6-2_teacher
P. 106

지도상의 유의점                     부록  성장 중심 활동지
                                                     학생들이 내용 정리를 통해 한반도의 미래와
                                                                                    확인 평가, 서술형 평가, 형성 평가,
                                                     통일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되새겨 보고, 활동
                                                                                    수행 평가를 활용해 보세요.
                                                     방법을 익힌 후 문제를 풀어 보면서 자신의 학
                                                     습 성취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1    빈칸을 채우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자.
      7


       25차시                                위치       우리나라 가장  2        동쪽    에 있는 영토



                                         인문환경       물골, 주민 숙소, 등대, 경비대원 숙소, 접안 시설 등



                                                    경사가 급한 화산섬 → 대부분 암석으로 이루어짐.
                                         자연환경
                         1    독도                      동해의 영향으로 기온이 온화하고, 겨울에 눈이 많이 내림.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
                                           가치
                                                      바다 밑에는 미래 에너지로 주목받는  3      가스 하이드레이트     이/가
                                                    묻혀 있음.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팔도총도」, 「동국대지도」 등의 옛 지도와 『세종
                                        역사적 자료
                                                    실록지리지』와 같은 옛 기록을 통해 예부터 우리나라의 영토였다는 사

                                                    실을 알 수 있음.


                                      조선 숙종 때 안용복과 조정이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분명히 함.
                        독도를 지키기
                                      오늘날 독도 경비대원을 포함한 한국인이 독도에 거주하며 독도를 지키고 있음.
                          위한 노력
                                        오늘날 정부와 민간단체는 독도의 역사를 올바르게 소개하고, 독도의 생태계를 보호하고 있음.


                                                          이산가족
                                      전쟁에 대한 두려움,  4              의 고통, 언어와 문화 차이로 발생하는 혼란 등
                         남북통일이        남북 분단으로 겪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음.
                           필요한        과도한 국방비를 줄여 다른 분야에 사용할 수 있음.
                            까닭
                                        남한의 기술과 북한의 자원을 이용하여 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음.



                                       1970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 이후
                          남북통일을
                                       「7·4  남북  공동    「남북 기본 합의서」       5   6·15 남북 공동      판문점 회담 개
                         위한 다양한
                                       성명」 채택, 최초      채택, 금강산 관광                            최,  남북  예술
                            노력         이산가족 상봉 등       사업 실시 등           선언, 개성 공단 가동 등      단 합동 공연 등





                         통일 한국의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물류와 교통의 중심지로 성장할 것임.
                          미래 모습         전쟁 가능성이 없어져 세계  6       평화     와/과 인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



           106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