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5 - ele_society_6-2_teacher
P. 135
내용 정리
➋ 지구촌의 여러 환경 문제와 그 피해
• 대기 오염: 공장과 자동차 등에서 배출되는 매연으
로 공기가 오염됨. → 사람들의 건강을 해침, 다른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환경 문제로는 대기 오염, 열대림 나라에도 영향을 줌.
• 열대림 파괴: 열대림의 나무를 무분별하게 베어 황
파괴, 사막화, 지구 온난화, 해양 쓰레기 문제, 산호 백화 현상, 미세
폐해짐. → 동물과 식물의 생활 터전이 줄어듦.
• 사막화: 이상 기후로 가뭄이 지속되고, 지나친 삼
플라스틱 문제 등이 있다. 이러한 환경 문제들이 지구촌에 어떤 피해를
림 훼손으로 사막 주변의 초원 지대가 점점 사막
주는지 알아보자. 으로 변함. → 농경지 감소, 식량이 부족해짐.
• 지구 온난화: 화석 연료를 사용하면서 온실가스 배
출량이 늘어나 지구의 평균 기온이 점점 올라감.
→ 극지방의 빙하 감소, 홍수와 가뭄 등의 자연재
수업 제안
해가 발생함.
• 교과서에 제시된 그림 외에 환경 문제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
• 해양 쓰레기 문제: 사용하고 버린 쓰레기가 바다에
나 영상 등을 미리 준비하여 보여 줄 수 있습니다.
쌓임. → 바닷물 오염, 바다 생태계가 파괴됨.
•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환경 문제를 자유롭게
• 산호 백화 현상: 지구가 더워지면서 바닷물의 온도
이야기하도록 유도합니다.
가 높아져 바닷속 산호가 색깔이 점점 하얗게 변
하며 죽어 감. → 바다 생물의 보금자리가 사라짐.
지구 온난화
석유, 석탄 등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
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늘어나 지구의 온실가스 지구 대기를
평균 기온이 점점 올라가고 있다. 그 결과 오염하여 온실 효과를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내리고 홍수, 가뭄 일으키는 기체.
등 자연재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바다 표면과 바닷속에
존재하는 쓰레기
해양 쓰레기 문제
사람들이 사용하고 버린
쓰레기가 바다에 쌓여 쓰레기
섬을 만들고 있다. 이 쓰레기가
바닷물을 오염하여 바다 생태
계가 파괴되고 있다.
바닷물에 녹아 있는 탄산 칼슘(석회 가루)이 해저
생물이나 해저의 바위 등에 하얗게 달라붙는 것.
갯녹음 또는 바다 사막화라고도 함.
산호 백화 현상
지구가 더워지면서 바닷물의 온도가
높아져 바닷속 산호가 색깔이 점점
하얗게 변하며 죽어 가고 있다. 그
결과 바다 생물의 보금자리가 사라
지고 있다.
3. 지속 가능한 지구촌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