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2 - ele_society_6-2_tutor
P. 302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반         번

                             지구촌의 평화와 발전                                         이름





           1   지구촌  갈등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까닭을                   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세요.

                보기  의 낱말 중 세 개를 넣어 쓰세요.
                                                                    1971년부터 독재 정치가 이어져 온 시
                 보기
                                                                  리아에서 2011년 독재에 반대하는 학생들
                 특정 국가, 보존, 영향, 여러 나라, 결과,
                                                                  의 시위가 일어났고, 시리아 정부는 시위를
                 환경
                                                                  무력으로 진압하였다. 가혹한 진압이 이어

                                                                  지자 이에 반대하는 정부군 군인과 시민이
                                                                  반정부군을 만들어 정부군에 맞서면서 시
                                                                  리아는 내전에 빠져들었다. 내전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으며,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

                                                                  거나 시리아를 떠나 주변국을 떠도는 난민
                                                                  으로 살고 있다.


                                                                ⑴   윗글의 밑줄 친 ‘내전’의 의미를 쓰세요.




           2   다음 그림을 보고 물음에 답하세요.                              ⑵   윗글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  난민에게

                                                                    도움을  주는  국제기구와  비정부  기구를
             역사적으로 이곳은                  우리가 지금 살고
            유대교를 믿는 우리가              있는데 갑자기 유대인이                   쓰세요.
              살던 곳이에요.                주인이라니요? 그리고
             우리 땅이 맞아요.              우리는 이슬람교를 믿어요.



                                                             4  국제연합(UN) 총회 모습입니다. 국제연합이
                                                                설립된 까닭은 무엇인지 쓰세요.
               ⑴   위 그림과 같은 분쟁이 일어난 지역의 이

                  름을 쓰세요.




               ⑵   위 그림에서 분쟁이 일어난 원인을 쓰세요.










           300    부록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