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5 - ele_society_6-2_tutor
P. 365

2    ⑴ 한자  ⑵  예시 답안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은 한              2    ⑴ 팔레스타인 지역  ⑵  예시 답안  한 지역을 서
                       자를 공통으로 사용하였으며, 나라마다 한자의 모양                       로 자기 땅이라고 주장하는 영토 문제인데, 종교가
                       이 달라지기도 하였고 고유의 글자를 만들기도 하                        달라서 갈등이 더 심각합니다.
                       였습니다.                                           3   ⑴  예시 답안  한 나라 안에서 서로 대립하는 세력이
                     3   예시 답안  러시아 사람들이 유럽에 가까운 서부 지                    무력으로 싸우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역에 많이 모여 살기 때문입니다.                                 ⑵  예시 답안   국제기구에는  국제연합난민기구가
                     4    ⑴ 원유  ⑵  예시 답안  사우디아라비아는 우리나                   있고, 비정부 기구에는 국제앰네스티가 있습니다.
                       라에 원유를 수출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사우                      4  예시 답안   제  1 차·제 2 차 세계 대전으로 많은 사람
                       디아라비아의 각종 건설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 다치거나 죽고 전쟁에 참여한 나라들은 큰 피해
                       사우디아라비아에 자동차, 전자 제품 등을 수출하                        를 입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지구촌 평화 유지, 전
                       고 있습니다.                                           쟁 방지, 국제 협력 증진 등의 활동을 하기 위해 국
                     5   예시 답안  나라마다 자연환경과 생산 기술, 문화 등                   제연합이 설립되었습니다.

                       이 달라 서로 필요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
                       입니다. 특히 교통·통신 기술의 발달로 물자 이동
                       이 편리해졌기 때문입니다.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한반도의 미래와 통일                        299 쪽
                                                                       지속 가능한 지구촌                         301 쪽
                     1    ⑴ 독도 ⑵  예시 답안  독도는 동해에 자리 잡고 있
                                                                       1   (가): 공장과 자동차 등에서 배출되는 매연으로 공
                       어 군사 및 해상 교통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위치에
                                                                         기가 오염되고 있습니다. (나): 바닷물의 온도가 높
                       있기 때문입니다.
                                                                         아져 바닷속 산호가 색깔이 점점 하얗게 변하며 죽
                     2  예시 답안  독도는 옛날부터 우리나라의 영토였다
                                                                         어 가고 있습니다.
                       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2  예시 답안  비닐이나 플라스틱보다는 여러 번 쓸 수
                     3  예시 답안  남북 분단으로 언어와 문화가 달라져 혼
                                                                         있는 용기를 사용하여 쓰레기를 줄입니다.
                       란을 겪고 있습니다.
                                                                       3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
                     4   ⑴ 이산가족 ⑵  예시 답안  「6·15 남북 공동 선언」 ,
                                                                         려고 체결되었습니다.
                       시드니 올림픽 남북 선수 공동 입장, 개성 공단 가동,
                                                                       4  (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배출합니다. (나): 대중교
                       개성 만월대 남북 공동 발굴 사업 등이 있습니다.
                                                                         통을 이용합니다. (다): 냉난방기를 사용할 때 실내
                                                                         적정 온도를 지킵니다.
                      지구촌의 평화와 발전                       300 쪽          5  예시 답안  문화적 편견과 차별을 극복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교육을 합니다. /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고
                     1   예시 답안  지구촌 갈등은 특정 국가만의 문제가 아
                                                                         공존하는 사회를 만드는 캠페인 활동을 합니다.
                       니라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문
                                                                       6  예시 답안  음식을 먹을 만큼만 덜어서 먹습니다. /
                       제이므로 국제기구, 국가, 개인 등 지구촌 구성원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필요한 사람과 나눕니다.
                       모두가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363
                                                                                                정답 및 해설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