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6 - ele_science_3-1_tutor
P. 216
10 13 차시 『과학』 58 쪽~59 쪽 『실험 관찰』 34 쪽~35 쪽
개구리
알을 낳는 동물의 한살이 거북, 개구리, 송사리 등도 알을 낳는 동물입니다.
닭과 거북은 땅에 알을 낳고, 개구리와 송사리는 물에
알을 낳습니다. 알에서 깨어난 새끼는 먹이를 먹고
자라며, 다 자란 암컷이 적당한 장소에 알을 낳습
곤충 외에도 알을 낳는 동물이 많습니다. 알에서 깨어난 동물은
니다. 동물에 따라 한 번에 낳는 알의 수, 크기, 모양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자랄까요? 다음 탐구로 닭의 한살이를 통해
다릅니다.
알을 낳는 동물의 한살이를 알아봅시다. 거북
『실험 관찰』 34 쪽~35 쪽
사고 탐구 송사리
알을 낳는 동물의 한살이 알아보기
큰 병아리
준비물 동물 동물도감동물도감 도감 솜털이 깃털로
도감
동물
바뀝니다.
동물도감 스마트 기기
볏
과정을 알아봐요 약 30 일 약 5 개월
꽁지깃
부리
1 닭의 한살이를 알아보고 특징을 정리합니다. 병아리
동물도감이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동물의 생김새, 먹이, 한살이 단계 등을 조사해요.
솜털로 덮여
조사 보고서 작성 방법 2 모둠별로 거북, 개구리, 송사리의 한살이를 조사하고, 닭의 한살이와 있습니다.
『과학』 116 쪽 ̄117 쪽의 비교합니다.
안내에 따라 조사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어요.
병아리가 부리로
껍데기를 깨고
나옵니다(부화).
약 21 일
1 일 다 자란 닭
암컷이 알을 수컷
낳습니다.
알
단단한 껍데기에
싸여 있습니다. 암컷
결과를 정리해요 확인해요
1 닭의 한살이는 어떠한가요? 1 알에서 깨어난 새끼 중 다 자란 암컷이 ( )을/를 낳습니다.
2 알을 낳는 다른 동물의 한살이를 정리해 볼까요? 2 사고 거북 알과 개구리 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해 봅시다. 거북 알 개구리 알
58 3 여러 가지 동물의 한살이 59 59
58 2. 동물의 한살이
초등과학3-1_②단원(39~66)OK.indd 58 2022-06-24 오후 3:22:11 초등과학3-1_②단원(39~66)OK.indd 59 2022-06-24 오후 3:22:19
차시 운영 방안
• 닭이나 물고기, 거북 등 알을 낳는 동물을 기르고 있거나
학습 목표 길러 본 경험이 있는 학생이 있는지 확인하고, 길러 본 경
• 닭의 한살이를 알아보고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험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 알을 낳는 동물의 한살이를 설명할 수 있다. • 닭과 알을 낳는 동물의 한살이를 직접 관찰하기 어려우므
로 동물도감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사진이나 동영상 자
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차시 수업 전개도
도입 알을 낳는 동물 이야기하기
(5 분) 핵심역량 활동
• [탐구] 알을 낳는 동물의 한살이 알아보기 • 과학적 사고력 닭의 한살이를 알아보고 병아리와 다 자란 닭
• 닭의 한살이 알아보기
전개 의 특징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사고력을 기른다.
(30 분) •알을 낳는 다른 동물의 한살이 알아보기
• 과학적 탐구 능력 알을 낳는 동물의 한살이를 조사하고 공통
•알을 낳는 동물의 한살이 비교하기
점을 찾는 과정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을 기른다.
정리 알을 낳는 동물의 한살이 정리하기
(5 분)
지도상의 유의점
수업 전 확인 사항 • 조류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등의 용어는 사용하지 않고
• 58`쪽 [탐구] 준비물은 아래와 같이 준비한다. 대신 닭이나 거북, 개구리, 송사리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 학교에 가금류 사육장이 있다면 병아리를 직접 기르면서
모둠별 동물도감, 스마트 기기
한살이를 관찰하여도 좋다.
214 2. 동물의 한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