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3 - ele_science_4-2_tutor
P. 463

참고 문헌
                 316 쪽   부서진 건물, 끊어진 도로: 셔터스톡
                 319 쪽   경주 지진 피해: 연합뉴스
                        포항 지진 피해: 셔터스톡
                                                                  • 교육부, 『초 ·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별책 1/별책 9], 교육
                 321 쪽   우리나라의 지진: 『한국 기상기록집➋ 한반도 역사지               부(2015)
                        진 기록(2 년~1904 년)』, 기상청(2012)
                                                                  •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328 쪽   그림 도구: 셔터스톡                                방향 Ⅱ』, 한국과학창의재단(2015)
                 342 쪽   눈, 만년설, 빙하, 바다, 비, 호수: 셔터스톡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교과 교육

                 358 쪽   우편 도장, 북극곰: 셔터스톡                           과정 개발 정책 연구회 합동 워크숍(4차) 자료집』, 한국교육
                                                                    과정평가원(2015)
                 360 쪽   자연환경, 인구 증가, 산업 발달: 셔터스톡
                                                                  • 권용주, 남정희, 이기영, 이효녕, 최경희, 『과학 교육 - 사고
                 364 쪽   해수 담수화 시설: 두산중공업
                                                                    에서 학습까지』(275 쪽, 311 쪽, 343 쪽), 도서출판 북스힐
                 370 쪽   투수성 도로, 불투수성 도로: 셔터스톡                      (2013)
                 372 쪽   워터콘: http://www.watercone.com            • 권재술, 김범기, 강남화, 최병순, 김효남, 백성혜, 양일호, 권용
                        와카워터: https://www.flickr.com/photos/warka   주, 차희영, 우종옥, 정진우, 『과학 교육론』(401 쪽), 교육과학
                        water                                       사(2012)
                        이슬 물통: 박기태                                • 장명덕, 『초등 과학 교육 이론과 실제』(222 쪽, 261 쪽, 270 쪽,
                 376 쪽   색연필: 셔터스톡                                  311 쪽), 아카데미프레스(2014)
                 377 쪽   그물에 맺힌 물방울, 바닥에 있는 그릇에 모인 물:             • 정문성, 『토의 · 토론 수업 방법 84』(22 쪽~23 쪽), 교육과학사
                        https://www.flickr.com/photos/warkawater    (2017)
                                                                  •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과학 교수 모형의 특징과 적
                 378 쪽   잎이 내보내는 수증기에서 물을 모으는 장치: 셔터스톡
                        촘항: 연합뉴스                                    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557 쪽~575 쪽), 한국과학교육학회
                                                                    지(2006)
                 379 쪽   큐드럼: http://www.qdrum.co.za/
                                                                  • 주상윤, 『창의적 발상의 원리와 기법』(17 쪽, 162 쪽), 울산대
                        생명 빨대: https://lifestraw.com/
                                                                    학교출판부(2007)
                        페달 세탁기: http://cargocollective.com/Cabunoc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 공학 용어 사전』(411 쪽), 교육과학사
                        Design/GiraDora
                                                                    (2005)
                 380 쪽   주사위, 놀이용 말, 필기도구: 셔터스톡
                                                                  •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학생 평
                 386 쪽   바다와 바다에 떠 있는 얼음덩어리: 셔터스톡
                                                                    가 어떻게 할까요?』(8 쪽~13 쪽, 21 쪽, 26 쪽), 한국교육과정
                                                                    평가원(2014)
                                                                  •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
                                                                    떻게 할까요? 초등』(5 쪽~6 쪽, 10 쪽~11 쪽), 한국교육과정
                                                                    평가원(2017)
                                                                  • 김명숙, 『교육과정, 교수 · 학습 및 평가의 연계: 학습을 위
                    전자저작물 자료 출처                                     한 평가, 교수 · 학습 혁신 세미나: 교수 · 학습과 평가의 연계』
                                                                    (37 쪽~38 쪽),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8)
                 45 쪽    [실험 영상] 햇볕이 드는 창가: 셔터스톡                  • 박지현, 진경애, 김수진, 이상아, 『과정 중심 평가 적용에 따른

                 54 쪽    [도움 영상] 석빙고: EBS                           학교 수준 학생 평가 체제 개선 방안』(6 쪽~8 쪽), 한국교육
                                                                    과정평가원(2018)
                 85 쪽    [실험 영상] 화산 활동 모습: 셔터스톡
                                                                  •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
                        [개념 영상] 화산 분출물 모습: 셔터스톡
                                                                    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9]』(2011)
                 93 쪽    [개념 영상] 지진 발생 모습: 셔터스톡
                                                                  • 교육부, 『교육 홍보 자료 수행평가의 이해』(1998)
                 95 쪽    [개념 영상] 지진 피해 모습: 셔터스톡
                                                                  •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
                 115 쪽   [도움 영상] 빗물 저금통: EBS                        떻게 할까요? -초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119 쪽   [단원 평가] 세면대: 셔터스톡                          2017-19-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


                                                                                      자료 출처 및 참고 문헌       461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