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4 - ele_science_4-2_tutor
P. 464

•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과학 교육학 개론』, 북스힐(1999)           • Orion,  N.,  『Development  of  a  high  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 이범홍, 김영민, 『과학과 수업 과정 모형 및 평가 방법 개선
                                                              Education(1989)
             연구: 국민학교 자연과를 중심으로. 연구 보고 RP 83-7』, 한
             국교육개발원(1983)                                    • Simpson, R. & Anderson, N., 『Science, students, and
                                                              schools』, Macmillan Publishing Company(1981)
           •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과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제
             3판)』, 교육과학사(2009)                               • White, R. & Gunstone, R., 『Probing understanding』, The
                                                              Falmer Press(1992)
           • 조희형, 박승재, 『과학 교수 · 학습(제2판)』, 교육과학사(1999)
           •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학교 화학 약품 안전 관리 매뉴
             얼 - 초등용」, 한국과학창의재단(2016)
                                                               과학 교육 관련 기관 누리집
           •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 실험 안전 매뉴얼 - 초등용」,
             한국과학창의재단(2014)
                                                             • 교육부 http://www.moe.go.kr/
           •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 실험 안전 매뉴얼 - 초등학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http://www.msit.go.kr
             교」(87 쪽, 91 쪽), 한국과학창의재단(2021)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ttp://www.kice.re.kr
           • 서울특별시교육청, 「탐구 · 실험 중심의 과학과 교수 · 학습 활
                                                             • 한국교육개발원 http://www.kedi.re.kr
             성화를 위한 과학 실험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 관리 방안」,
                                                             • 한국교과서연구재단 http://www.textbook.ac
             서울특별시교육청(2012)
                                                             • 한국과학창의재단 http://www.kofac.re.kr
           • 환경부, 「유해 화학 물질 표시 방법」, 환경부(2015)
                                                             • 국립중앙과학관 http://www.science.go.kr
           • Aronson, E., 『The jigsaw classroom』, SAGE Publications,
             Inc.(1978)                                      • 에듀넷 · 티 – 클리어 http://www.edunet.net
                                                             • 사이언스올 http://www.scienceall.com
           • Biological  Science  Curriculum  Study(BSCS),  『BSCS
             biology: A human approach』, Kendall/Hunt Publishing   • 서울특별시교육청과학전시관 http://ssp.sen.go.kr
             Company(2003)                                   •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http://www.serii.re.kr

           • Bloom, B. 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과학정보원 http://ienet.ice.go.kr
             Vol. 1: Cognitive Domain』, David Mckay(1956)
                                                             • 대구창의융합교육원 http://www.dge.go.kr/dicce
           • Blunck, S. & Yager, R., 『The Iowa Chautauqua Program: A
                                                             • 광주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 http://gice.gen.go.kr
             model for improving sc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 충청남도교육청연구정보원 http://home.edus.or.kr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 권, 3 쪽~9 쪽
             (1990)                                          • 대전교육과학연구원 http://desre.djsch.kr
                                                             • 충청북도자연과학교육원 http://cbnse.go.kr
           • Dodge, B., 『Web Quests: A technique for internet - based
             learning. Distance Educator』, Distance Educator(1995)  • 경상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http://gerii.gne.go.kr
           • Driver, R. & Oldham, V.,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 경상북도교육청과학원 http://www.gsei.kr
             curriculum development in science』, Studies in Science   • 전라남도창의융합교육원 http://jncce.da.jne.kr
             Education, 13 권, 105 쪽~122 쪽(1986)
                                                             • 전라북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http://www.jbedu.kr
           • Kauchak,  D.  &  Eggen,  P.,  『Exploring  science  in  the
                                                             • 제주미래교육연구원 http://cisec.or.kr
             elementary schools』, Houghton Mifflin Company(1980)
           • Lawson, A., 『Scientific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1995)
                                                                  집필진이 직접 집필한 경우 출처를 밝히지 않았음.
           •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Inquiry and the national     출처 표시를 하지 않은 사진 및 삽화 등은 저작자 및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발행사에서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임.
             learning』, National Academy Press(1996)

           462        자료 출처 및 참고 문헌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