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1 - ele_science_5-1_tutor
P. 201

예시 답안  천왕성은 태양으로부터의 거리가 토성의 약 2`배이다. 따
                       과학자
                            천왕성을 발견한                              라서 천왕성을 발견하면서 사람들은 태양계의 크기가 이전에 알고
                            윌리엄 허셜과 캐롤라인 허셜                       있던 것보다 훨씬 더 크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윌리엄 허셜(Herschel, W. F., 1738 ̄1822)과 동생인 캐롤라인 허셜
                            (Herschel, C. L., 1750 ̄1848)은 천왕성을 발견한 천문학자입니다.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허셜 남매는 본격적으로 천문학을 연구하기 전부터 직접 망원경을     •  과학적 탐구 능력   다른 태양계 행성이 발견된 과정도
                            만들어서 별을 관측했습니다. 1781`년 어느 날, 자신이 만든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관찰하던 윌리엄 허셜은 새로운 천체를 발견했습니다. 허셜      조사하게 한다.
                            남매는 이후 몇 달 동안 이 천체를 자세하게 관찰하고 새로운 천체의
                            존재를 세상에 알렸습니다. 이 천체가 바로 천왕성입니다. 천왕성을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천왕성을 발견한 뒤 태양계의 크기
                            발견한 다음, 허셜 남매는 밤하늘을 관측하는 데 더욱 힘을 쏟아 새로운   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이 어떻게 달라졌을지 근거
                            천체를 계속해서 발견했고, 발견한 내용을 기록해 목록으로 남겼습니다.
                                                                      를 들어 친구들에게 설명하게 한다.
                                                                                                                   3
                                                                                                                   단원


                                                                   참고  자료
                                                                  천왕성의 발견
                                                                    천왕성은 지구에서 너무 먼 거리에 있기 때문에 윌리
                                                                  엄 허셜이 발견하기 전까지 사람들은 천왕성의 존재를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알지 못했다. 천왕성은 발견된 후 약 70`년 간은 나라
                   천왕성을 발견하기 전까지 사람들은 토성이 있는 곳이 태양계의 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천왕성을
                  발견한 뒤, 태양계의 크기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이 어떻게 달라졌을지 설명해 봅시다.
                                                                  마다 다른 이름으로 불리다가 1850`년에 정식으로 천
                70                                                왕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70
               초등과학5-1_③단원(47~70)OK.indd   70            2022-06-10   오전 10:11:19
                                                                  윌리엄 허셜(Herschel, W. F., 1738 ̄1822)
                                                                    윌리엄 허셜은 천왕성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천문학
                   ‣  활용 방법                                       자라기보다는 음악가였지만, 천왕성을 발견한 뒤 본격
                   • 윌리엄 허셜과 캐롤라인 허셜이 천왕성을 발견하게                   적으로 천문학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된 과정을 이야기하면서 천체 관측에 대한 호기심과
                                                                    윌리엄 허셜은 천문학 발전에 다방면으로 영향을 주
                    태양계 행성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또,
                                                                  었다. 허셜은 최초의 반사 망원경을 만들었고 망원경의
                    윌리엄 허셜이 직접 만든 망원경으로 천왕성을 발견
                                                                  성능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량했다. 그는 꾸준한
                    했다는 사실을 통해 천체 관측에 대해 학생들이 느
                                                                  관측을 통해 천왕성 외에도 수많은 쌍성, 천왕성의 위
                    끼는 막연한 어려움을 해소하게 할 수 있다.
                                                                  성, 토성의 위성 등을 발견했다.



                                                                  캐롤라인 허셜(Herschel, C. L., 1750 ̄1848)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캐롤라인 허셜은 초기에는 오빠인 윌리엄 허셜의 관

                                                                  측 결과를 기록하는 일을 많이 했지만, 나중에는 직접
                  천왕성을 발견하기 전까지 사람들은 토성이 있는 곳이
                                                                  천문학 발전에 영향을 준 여러 가지 업적을 남겼다. 허셜
                 태양계의 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천왕성을 발견한 뒤,
                                                                  은 여러 개의 성운과 혜성을 발견했고 그 혜성 중 일부
                 태양계의 크기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이 어떻게 달라졌
                                                                  에는 그녀의 이름이 붙었다.
                 을지 설명해 봅시다.
                                                                    1835`년 캐롤라인 허셜은 해왕성 발견에 영향을 준
                 지도 방향  태양계 행성의 상대적 거리를 떠올려 천왕성이 토성보다
                 멀리 있다는 것을 인지하게 한다. 태양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행성을            메리 서머빌(Somerville, M. F., 1780 ̄1872)과
                 발견할수록 태양계의 크기에 대한 사람들의 사고가 확장된다는 점을              함께 영국 왕립천문학회 최초의 여성 회원으로 선출되
                 생각해 볼 수 있게 지도한다.                                 었다.


                                                                                            3. 태양계와 별    199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