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3 - ele_science_5-1_tutor
P. 353
학습 내용 및 활동 검토
• 학생들이 활동을 통해 주요 학습 목표를
스스로 달성할 수 있는가?
• 학습할 과학 개념이 일상 용어와 유사
학습 목표를 학습자 스스로 달성할 수 있는가?
한가?
• 교사가 주요 개념을 도입해 주지 않아도
그렇다. 아니다. 되는가?
학습자 중심형 학습자 지원형
학습 활동의 특성은 어떠한가? 학습 내용의 특성은 어떠한가?
• 학생들에게 비교적 생소한 학습 내 • 선행 연구 결과 많은 학생이 근본
용인가? 적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보
경 • 학생들이 저학년인가? 이는가?
험 오
• 학습 목표가 구체적인 경험을 요구 개 • 교사의 경험에 비추어 학생들이 심
하는가? 념 각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 판단되는가?
그렇다. 경험 학습 모형 유 • 학습 내용에 대해 과학사에서 많은
오개념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
는가?
• 학습 내용을 전개할 때 구체적인 사
귀 례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좋은가? 그렇다. 개념 변화 학습 모형
납 • 학습할 주요 개념을 다양한 현상이
적 나 사례의 관찰을 통해 알아내는
• 학생들이 활동을 통해 주요 학습 목
것이 바람직한가?
교 표를 스스로 설정하기 어려운가?
사
그렇다. 발견 학습 모형 • 학습할 과학 개념이 일상 용어와
도 많이 다른가?
입 • 교사가 주요 개념을 설명해 줘야
• 학습 내용을 전개할 때 문제를 해 하는가?
결하기 위해 가설을 세우고 이를
가 그렇다. 순환 학습 모형
설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 주요 학습 목표가 과학 탐구 능력
검 의 신장인가?
증
• 주요 학습 내용에 원인–결과 관계
가 들어 있는가?
그렇다. 탐구 학습 모형
• 학습 내용이 실생활 문제와 밀접하
실 게 관련되는가?
생 • 학생들이 문제 해결 방안을 찾아낼
활 수 있는가?
• 해결 방안의 실천이 요구되는가?
그렇다. 과학 ‐ 기술 ‐ 사회[STS] 학습 모형
▲ 적절한 과학 학습 모형 선택 절차(김찬종, 1996)
4. 과학 학습 모형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