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8 - ele_science_5-1_tutor
P. 348
1 참여 – 탐색 – 설명 – 정교화 – 평가[5E] 학습 모형
참여–탐색–설명–정교화–평가[5E: Engagement–Exploration–Explanation–
Elaboration–Evaluation] 학습 모형은 과학 지식의 구성과 과학 개념의 변화에 주요 목
표를 두고 있으며, ‘참여(engagement) → 탐색(exploration) → 설명(explanation) → 정
교화(elaboration) → 평가(evaluation)’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다. 이 모형은 구성주의 학
습 이론에 따라 순환 학습 모형에서 탐색 단계를 참여와 탐색 단계로 구분하고 용어 도입 단
계를 설명 단계로 수정했으며, 개념 적용 단계를 정교화 단계로 보완하고 마지막에 평가 단
계를 추가한 것이다. 참여–탐색–설명–정교화–평가[5E] 학습 모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 학습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하거나 학생들의 선행 지식과 상충하는 현상 등을
제시해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한다.
참여 • 주어진 질문이나 선행 지식 등에 대해 학생들의 생각을 말해 보게 함으로써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과 현재 학습하고 있는 내용을 연관 지을 수 있도
록 한다.
• 학생들은 개인이나 모둠별로 문제를 설정하고 그에 대한 가설을 설정한 다음
탐색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해 가설을 검증하는 탐구를 수행한다.
• 학생들은 설정한 문제에 대한 답이나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토의한다.
• 학생들은 증거를 바탕으로 하여 문제에 대한 답이나 해결 방안을 설명한다.
설명 •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의 언어로 개념을 설명하게 하고, 설명과 질문이 끝난 후
관련된 개념, 법칙, 이론 등을 정의하거나 설명한다.
• 학생들은 학습한 개념이나 방법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한다.
정교화
• 학생들은 자신이 처음에 생각했던 것을 지금의 생각과 비교한다.
• 학생들이 학습한 지식, 기능, 발달 상황을 평가한다.
평가
• 학생들에게 스스로 자신의 학습 결과를 평가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 참여–탐색–설명–정교화–평가[5E] 학습 모형의 요소와 단계
2 예상 – 관찰 – 설명[POE] 학습 모형
예상–관찰–설명[POE: Prediction–Observation–Explanation] 학습 모형은 관찰
할 현상의 결과를 예상하고 설명하는 ‘예상(prediction)’, 실제로 관찰하거나 실험하여 결과
를 얻는 ‘관찰(observation)’, 예상과 관찰 사이의 불일치를 해결하는 ‘설명(explanation)’의
세 단계로 구성되며(조희형 외, 2010), 이 세 단계는 순환적 성격을 띠므로 예상–관찰–설
명[POE] 학습 모형을 순환 학습 모형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예상–관찰–설명[POE]
학습 모형은 그 형식이 비교적 간단해 학생 중심의 탐구 활동뿐만 아니라 과학 수업에서 다
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346 제 3 부 과학 교육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