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4 - ele_science_5-1_tutor
P. 344
4 과학 학습 모형
학습 모형은 교사가 수업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구성하는 수업의 순서와 방법
의 총체이다. 교사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업을 조직하기 위해 수업 목적과 활동에 적합
한 과학 학습 모형을 선택해야 한다. 과학 학습 모형을 적절하게 선택하고 적용하려면 각 모
형을 이해하고, 모형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조건 등을 알아야 한다. 또, 학생들이 과학을 학
습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 학교 시설, 교육 환경 등도 고려해야 한다.
1 경험 학습 모형
경험 학습 모형은 그 용어가 암시하듯이 학생들이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경험을 통해 자연 경험 학습 모형을 적용
할 때의 유의점
현상이나 사물에 친숙해지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장명덕, 2014).
• 학생들이 관찰하거나
경험 학습 모형은 자연과 자연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나 사물을 관찰, 분류 등을 통해 직접적
분류할 수 있는 실물이
으로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학습 모형이다. 이 모형은 탐구 대상을 자유롭게 나 사진, 동영상을 충
분히 준비한다.
탐색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1 차적인 목표라고 볼 수 있어, 새로운 학습 소재를 도입할 때
•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에는 모든 학생에게 적합하다. 경험 학습 모형은 학생들의 구체적이고 조작적인 감각 경험을 적합한 학습 자료를 다
양하게 활용한다.
중시하며, 관찰, 분류 등의 기초 탐구 기능을 익히는 데 초점을 둔다. 또, 개념을 가르치거나
• 학생들이 관찰이나 분
일반화를 이끌어 내기보다 과학 내용을 활용해 경험을 유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 경험 학습 류에 어려움을 겪는다
면 교사가 안내자가 되
모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어 관찰 활동을 지원
한다.
• 학생들은 준비된 학습 자료를 오감이나 도구로 관찰, 분류, 자료를 이용한 놀이 • 모둠 활동으로 진행하
자유 탐색 등을 하여 자유롭게 탐색한다. 면 긍정적 상호 작용을
• 학습 자료와 친숙해지고 탐구 대상에 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한다. 경험하게 할 수 있다.
•자유 탐색 단계에서 수집한 정보를 종합해 탐색 결과를 발표한다.
탐색 결과
•교사는 학생들의 활동 수준과 내용을 파악한다.
발표
•다른 학생들의 발표를 주의 깊게 듣고 자신의 탐색 결과와 비교한다.
• 교사는 탐색 결과에 대해 질문해 학생들의 학습 활동에서 보완해야 할 점을
교사의 안내에 파악한다.
따른 탐색 • 교사는 새로운 관점이나 기준을 제시해 학생들이 추가로 탐색하도록 유도
한다.
학생들은 스스로 탐색한 결과와 교사의 안내에 따라 탐색한 결과를 종합해 정
탐색 결과 정리
리한다.
▲ 경험 학습 모형의 요소와 단계
342 제 3 부 과학 교육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