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9 - ele_science_5-1_tutor
P. 359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관찰 중심의 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교사가 유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장명덕, 2014).
• 관찰하고자 하는 목적을 학생들에게 분명하게 알려 준다.
• 관찰하기 전에 학생들에게 관찰의 관점을 제시한다. 초등학생의 경우 관찰에 필요한 지식이
부족하고 관찰 방법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한 번의 관찰로 교사가 의도한 것을 관찰하기 쉽
지 않다. 관찰의 관점을 제시하는 수준은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미리 관찰에 필요한 관점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관찰은 학생이 이미 알고 있는 지식
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필요에 따라 관찰에 필요한 최소한의 지식을 교사가 제공해 줄 수도
있다.
• 교사의 설명 수업보다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스스로 관찰하는 수업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
때 학생들이 제대로 관찰하지 못하거나 관찰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교사가 안내자나 촉진자가
되어 관찰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 관찰 대상을 처음 본 것처럼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시간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
• 관찰 수업은 관찰 활동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관찰 결과를 기록하는 단계까지 이어져야 한
다. 관찰 결과를 기록할 때에는 학생들이 관찰한 결과를 자세하고 정확하게 기록하도록 하고,
필요하다면 표와 그림을 이용해 결과를 정리하도록 한다. 특히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 관찰하
기처럼 오랜 기간에 걸쳐 관찰 활동을 할 때에는 학생들이 관찰 기록장에 관찰 시간, 관찰 장
소, 직접 관찰한 것 등을 계속해서 정확하게 기록하도록 지도한다.
관찰 수업은 크게 관찰 전 활동, 관찰 활동, 관찰 후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은 관찰
수업의 세부적인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교사가 관찰 수업을 계획하거나 검토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 관찰 수업의 과정
과정 개념 정의
① 동기 유발 학습 내용에 대해 호기심을 갖도록 자극하는 과정
관찰 전 ② 학습 목표 확인 학생들에게 학습 목표를 제시해 확인시키는 과정
활동
③ 관찰 대상 제시 관찰 대상을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관찰 대상에게 설명하는 과정
④ 자유 관찰 교사 안내 이전에 자유롭게 관찰하는 과정
⑤ 관찰 방법 안내 교사 주도로 관찰 방법이나 대상 변화를 안내하는 과정
⑥ 단순 관찰 오감을 사용해 관찰하는 과정
관찰
활동 단순 관찰 후 빠진 관찰의 유형을 찾아보게 하거나 조작 방법을 안내
⑦ 관찰 방법 추가 안내
하는 과정
물리적 조작을 가한 후에 관찰하는 과정, 실험 기구나 시약을 사용하
⑧ 조작 관찰
는 과정
⑨ 관찰 내용 기록 관찰한 내용을 그림으로 그리거나 글로 기술하는 과정
관찰 후 ⑩ 관찰 내용 확인 토의나 발표를 통해 관찰한 내용을 서로 확인하는 과정
활동 ⑪ 규칙성 발견 관찰한 내용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규칙성을 알아내는 과정
⑫ 학습 정리 배운 내용을 확인하며 정리하고 차시를 예고하는 과정
5. 과학 교수 · 학습 방법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