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2 - ele_science_5-1_tutor
P. 362
실험 수업은 과정의 주체에 따라 다음과 같이 형태가 구분되기도 한다. 표에서 실험 수업의
형태 Ⅰ과 Ⅱ는 보통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거나 조작적 기술을 습득하게 할 목적에
서 이루어진다. 교사는 실험 문제와 가설을 제시할 뿐 학생들 스스로 가설을 검증하게 하고
자 한다면 Ⅲ의 실험 수업 형태가 적절하다. 실험 수업의 목적이 학생들에게 과학 탐구 방법
을 인식 및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Ⅳ나 Ⅴ처럼 학생 중심의 실험 수업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과학적 탐구 능력과 과학적 문제 해결력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학생 스스로 관심 있는 주
제를 선정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실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면 Ⅴ의 실험 수업 형태가
가장 효과적이다.
▼ 실험 과정의 주체에 따른 실험 수업의 형태
실험 수업의 형태
실험 과정
Ⅰ Ⅱ Ⅲ Ⅳ Ⅴ
문제 인식 교사 교사 교사 교사 학생
가설 설정 교사 교사 교사 학생 학생
실험 계획 교사 교사 학생 학생 학생
실험 수행 학생 학생 학생 학생 학생
자료 수집 학생 학생 학생 학생 학생
결론 도출 교사 학생 학생 학생 학생
초등학생들은 과학 실험의 방법과 과정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실험을 지도하는 데 섬세
한 주의가 요구된다.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실험 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교사
가 유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 실험 재료나 내용은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실험 수업이 효과를 거두려면 학생들을 준비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실험의 목
적과 실험을 통해 알고자 하는 것을 분명하게 인식시키고, 실험에 대한 동기를 유발해 적극
적으로 실험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 즉 실험에서 다르게 해야 할 조건(조작 변인), 같게 해
야 할 조건(통제 변인), 측정해야 할 조건(종속변인)을 미리 파악한 후 실험을 수행하도록 지도
한다.
• 실험 과정 및 결과를 자세히 기록하고, 실험 결과를 표, 그래프, 그림 등으로 표현하게 한다.
실험 과정을 자세히 기록하면 보고서 작성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실험 과정에서 있었던 문
제점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 결과를 표현한 표, 그래프, 그림은 자료 해석에 도움을 줄 뿐만 아
니라 그 자체로 의사소통의 기능을 한다.
• 실험을 위해 모둠을 편성할 때에는 각 구성원에게 역할을 적절하게 분담하고, 실험 과정에 적
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지도한다.
•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실험 전에 반드시 안전 교육을 하고, 실험과 관련된 유의 사항을
분명하게 알려 준다.
360 제 3 부 과학 교육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