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0 - ele_science_5-1_tutor
P. 370
• 학생에게 구체적인 상황을 소개하고 어떤 문제에 직면해 있다는 것을 민감하
게 느끼도록 지도한다.
• 문제는 학생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하며, 필요하다면 교사가 상황을 설정
한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준비 •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장면과 역할을 적절하게
설정한다.
• 학생들이 자기 생각이나 느낌을 스스럼없이 표현할 수 있도록 자유롭고 허용
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 역할놀이에서 사용할 소품이 필요한 경우 미리 준비한다.
• 교사는 학생들과 함께 역할을 정하고, 누구나 자유롭게 역할을 고를 수 있는
기회를 준다.
• 지원자를 중심으로 역할을 부여하고, 참가하기를 꺼리는 학생에게 억지로 역
실연자 선정
할을 맡기지 않는다.
• 역할을 맡은 학생들이 자기 역할을 충분히 인식하게 하고, 자기 역할을 구상할
시간을 제공한다.
문제 상황을 나타내는 그림이나 사진을 칠판에 그리거나 붙이고, 책상과 의자 등
무대 준비
간단한 도구를 이용해 역할놀이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 역할놀이를 관람하는 학생들이 배역을 맡은 학생의 연기력이 아니라 역할놀이
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집중하여 관람하도록 지도한다.
청중의 준비
• 학생들이 역할놀이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경청하도록 지도하고, 역할놀이 상
황을 해석하고 평가해 문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립하도록 한다.
• 배역을 맡은 학생들이 정해진 역할을 구체적이고 자연스럽게 표현하도록 지도
한다.
• 청중이 예절을 지키며 관람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실연
• 역할을 맡은 학생이 당황하거나 자신의 역할에 혼란스러워하는 경우에는 역할
놀이를 잠시 중단하고 상황에 적합한 조언이나 설명 등을 통해 자기 역할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 역할놀이가 끝나면 역할놀이에서 다루었던 내용을 중심으로 토의ㆍ토론을 진
실연에 대한 행하고 학습과 관련된 내용을 평가하게 한다.
토의 및 평가 • 교사는 역할놀이의 전반적인 활동을 정리해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를 돕는다.
▲ 역할놀이의 진행 과정
368 제 3 부 과학 교육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