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6 - ele_science_5-1_tutor
P. 416
• Mar&tin S. Silberberg 외 2`명(화학교재연구회 옮김), 『실 • 권문호, 박종석,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능’에 대
버버그의 일반 화학』, 사이플러스, 2019. 한 비판적 검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40`권, 151`쪽
• Steven S. Zumdahl 외 2`명(화학교재연구회 옮김), 『줌달 ~161`쪽).
의 일반 화학』, Cengage Learning Korea, 2019. • 권용주, 남정희, 이기영, 이효녕, 최경희, 『과학 교육 – 사고에
서 학습까지』, 북스힐, 2013.
5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 권재술, 김범기, 강남화, 최병순, 김효남, 백성혜, 양일호, 권용
주, 차희영, 우종옥, 정진우, 『과학 교육론』, 교육과학사, 2012.
• 우지현 외 5`명, 『생물학자가 알려 주는 생물 자원 이야기』, • 김명숙,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평가의 연계: 학습을 위한
국립생물자원관 전시교육과, 2017. 평가, 교수·학습 혁신 세미나: 교수·학습과 평가의 연계』, 한
• 중앙일보, 「세균 실험 중 페니실린 발견, 인류에 ‘항생제’ 선 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37`쪽~38`쪽).
물」, 2016. 6. 19. • 김종록, 이관희, 『과학 글쓰기 전략』, 박이정, 2011.
• 한국과학창의재단, 「하수 처리장의 오염 물질을 정화하는 곰팡
• 김찬종, 『수업 내용이나 활동에 적합한 과학과 교수·학습 모
이, 세균」, 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생물
형 선택을 위한 절차 개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과학교육연
학적폐수처리 – biological – waste – water – treatment –
구소 논문집, 1996, (17`권, 143`쪽~170`쪽).
• 生物學的廢水處理/?term_slug=&sa_term=scidictionary
•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과학 교육학 개론』, 북스힐, 1999.
• 한겨례, 「박테리아가 유출된 기름을 분해한다?」, 2014. 3. 10.
•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Brian Hand, 『논의를 강조한 탐
• 사이언스타임즈, 「중금속 오염 완화 미생물 첫 발견 <윤성철
교수>」, 2008. 12. 10. 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 중학
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08, (28`권,
• 사이언스타임즈, 「미생물로 인공 눈을 만든다?」, 2013. 1. 9.
• 서울신문, 「휘발유 만드는 세균이 나왔다고?」, 2018. 3. 22. 922`쪽~936`쪽).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바이오 의약품 개발 전문가」, 커리 • 박수경, 『집단 보상과 협동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과학 성
어넷, https://www.career.go.kr/cnet/front/base/ 취도와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006,
guidebook/guideBookDe&tail.d&o?GUIDEBOOK_ (27`권, 121`쪽~129`쪽).
SEQ=10572 • 박지현, 진경애, 김수진, 이상아, 『과정 중심 평가 적용에 따
른 학교 수준 학생 평가 체제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18, (6`쪽~8`쪽).
제3부 과학 교육의 이해
• 박지현, 조지민, 진경애, 김수진, 이재봉, 배주경, 김현정, 박
• 강석진, 노태희, 『과학의 본성』, 북스힐, 2014. 종임, 이상아, 배화순, 이소연, 이동욱(2018), 『초·중학교 교
사별 과정 중심 평가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강사 연수』, 한
• 강호감, 『초등 과학 교육론』, 교육과학사, 2007.
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별책 1/별책 9], 교육
• 배희숙, 전영석, 홍준의,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
부, 2015.
글쓰기 교수·학습 전략 개발』, 초등과학교육, 2009, (28`권,
•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 실험 안전 매뉴얼 – 초등용』,
178`쪽~186`쪽).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 서울특별시교육청, 『탐구·실험 중심의 과학과 교수·학습 활
•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학교 화학 약품 안전 관리 매뉴 성화를 위한 과학 실험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 관리 방안』,
얼 – 초등용』, 한국과학창의재단, 2016. 서울특별시교육청, 2012.
•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 평가 어 •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
떻게 할까요(초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5`쪽~6`쪽, 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
10`쪽~11`쪽). 정, 임혁, 정대홍, 정용재, 정종훈, 김진희, 『미래 세대 과학
•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학생 평 교육 표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9.
가 어떻게 할까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8`쪽~13`쪽, • 양일호, 조현준, 『학교 과학 수업에서 실험의 목적에 대한 고
21`쪽, 26`쪽). 찰』, 초등과학교육, 2005, (24`권, 268`쪽~280`쪽).
•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등학교 교사별 과정 중심 평 • 오필석, 『과학 교육에서 기능 중심의 과학 탐구에 대한 비판적
가 이렇게 하세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40`권, 141`쪽~150`쪽).
414 자료 출처 및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