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7 - ele_science_5-1_tutor
P. 417
• 이나현, 황신영, 정영란, 『과학의 본성 관련 국내 과학 교육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 공학 용어 사전』, 교육과학사, 2005.
연구 동향 분석』,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교과 교
Instruction, 2019, (25`권, 218`쪽~233`쪽). 육과정 개발 정책 연구회 합동 워크숍(4차) 자료집』, 한국교
• 이영희,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Ⅰ교과서 생명 육과정평가원, 2015.
과학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학연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구, 2013, (17`권, 173`쪽~197`쪽).
Science(AAAS),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 이영희,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4, (34`권, 207`쪽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212`쪽).
Science(AAAS), 『Science for all Americans』, Oxford
• 이화국, 『과학 교육』, 교육과학사, 1984. University Press, 1990.
• 장명덕, 『초등과학교육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14.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 전승준, 고훈영, 이영식, 곽영순, 최성연, 강훈식, 박민아, 『모 Science(AAAS), 『Science for all Americans』, Oxford
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2017. University Press, 1993.
• 전영빈, 이화국,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의 과학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의 본성(NOS)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2020, (44`권, 273`쪽 Science(AAAS), 『Science – A Process Approach,
~288`쪽). Par&t A, Description of the program』, Xerox, 1967.
• 정명현, 유인성, 민소원, 홍훈기,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 • Bloom, B. S.(ed.), 『Taxonomy of educational
학의 본성 수준 및 반영 정도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과 objectives, Vol. 1: Cognitive Domain』, David
2015 개정 교육과정 사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Mckay, 1956.
2020, (20`권, 1047`쪽~1074`쪽).
• Brown, N. J. S., Fur&tak, E. M., Timms, M.,
• 정문성, 『토의·토론 수업 방법』, 교육과학사, 2017, (22`쪽 Nagashima, S. O., &Wilson, M., 『The evidence – based
~23`쪽, 84`쪽). reasoning framework: Assessing scientific
• 정준형, 강남화, 『우리나라 2015 과학 교육과정 성취 기준과 reasoning』, Educational Assessment, 2010, (15`권,
미국 차세대 과학 표준(NGSS) 수행 기대의 물리 영역 비교 123`쪽~141`쪽).
분석』, 새물리, 2016, (66`권, 705`쪽~718`쪽).
• Chang, H. P., &Lederman, N. G., 『The effects
• 조성민, 구남욱, 김현정, 이소연, 이인화, 『OECD 국제 학업 of levels of cooperation within physical
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8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 science laboratory groups on physical science
평가원, 2019.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 조연순, 채제숙, 백은주, 임현화, 『초등학교 수업을 위한 문제 Teac&hing, 1994, (31`권, 167`쪽~181`쪽).
중심 학습(PBL)의 교수·학습 과정 모형 연구』, 교육방법연 • C&hiappetta, E. L., Koballa, T. R., Collette, A. T.,
구, 2004, (1`쪽~28`쪽).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 조은진, 김찬종, 최승언, 『‘과학의 본성’ 교육 – 그 다원성 고 schools』,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1998.
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8, (38`권, 721`쪽~738`쪽). • Conant. J. B., 『Science and common sense』, Yale
•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과학 교수 모형의 특징과 적 University Press, 1961.
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0, (30`권,
• diSessa, A. A., 『Toward an epistemology of
557`쪽~575`쪽). physics』, Cognition and Instruction, 1993, (10`권,
• 조희형, 최경희, 『과학 교육 총론』, 교육과학사, 2001. 105`쪽~225`쪽).
• 주상윤, 『창의적 발상의 원리와 기법』, 울산대학교출판부, • Dodge, B., 『Web Quests: A technique for
2007. i&nternet – based learning. Distance Educator』,
• 한국과학교육학회, 『과학 교육학 용어 해설』, 교육과학사, Distance Educator, 1995.
2005. • Kissock, C., Lyor&tsuun , P., 『A guide to
•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questioning: Classroom procedures for teachers』,
방향 Ⅱ』,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Macmillan Education, 1982.
자료 출처 및 참고 문헌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