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0 - ele_science_6-1_tutor
P. 410

4 식물의 구조와 기능                                    • 김명숙,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평가의 연계: 학습을 위한

                                                              평가, 교수·학습 혁신 세미나: 교수·학습과 평가의 연계』, 한
           • 신학수 외 6`명, 『상위 5`%로 가는 생물 교실 1』, 스콜라,            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37`쪽~38`쪽).
             2017.                                           • 김종록, 이관희, 『과학 글쓰기 전략』, 박이정, 2011.
           • 전영석 외 4`명, 『거꾸로 과학 2』, 아울북, 2016.
                                                             • 김찬종, 『수업 내용이나 활동에 적합한 과학과 교수·학습 모
           • 정지숙 외 2`명, 『거꾸로 과학 1』, 아울북, 2016.
                                                              형 선택을 위한 절차 개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과학교육연
           • 정효진, 『맛있는 과학 46 – 생명 과학』, 주니어김영사, 2017.
                                                              구소 논문집, 1996, (17`권, 143`쪽~170`쪽).
           • 한국고용정보원, 「나무의사」, 워크넷, https://www.work.
                                                             •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과학 교육학 개론』, 북스힐, 1999.
             go.kr/consltJobCarpa/srch/jobDic/jobDicDtlI&nfo.
             d&o?pageType=jobDicSrchByJobCl&jobCode=         •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Brian Hand, 『논의를 강조한 탐
                                                              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 중학
             2131&jobSeq=2
                                                              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08, (28`권,
             5 빛과 렌즈                                          922`쪽~936`쪽).

                                                             • 박수경, 『집단 보상과 협동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과학 성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안경사」, 커리어넷, https://www.             취도와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006,
             career.go.kr/cnet/front/base/job/jobView.d&o?SEQ   (27`권, 121`쪽~129`쪽).
             =21                                             • 박지현, 진경애, 김수진, 이상아, 『과정 중심 평가 적용에 따
                                                              른 학교 수준 학생 평가 체제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
             제3부 과학 교육의 이해                                    원, 2018, (6`쪽~8`쪽).
                                                             • 박지현, 조지민, 진경애, 김수진, 이재봉, 배주경, 김현정, 박
           • 강석진, 노태희, 『과학의 본성』, 북스힐, 2014.                   종임, 이상아, 배화순, 이소연, 이동욱(2018), 『초·중학교 교
           • 강호감, 『초등 과학 교육론』, 교육과학사, 2007.                   사별 과정 중심 평가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강사 연수』, 한
           •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별책 1/별책 9], 교육            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부, 2015.                                        • 배희숙, 전영석, 홍준의,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
           •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 실험 안전 매뉴얼 – 초등용』,             글쓰기 교수·학습 전략 개발』, 초등과학교육, 2009, (28`권,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178`쪽~186`쪽).
           •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학교 화학 약품 안전 관리 매뉴               • 서울특별시교육청, 『탐구·실험 중심의 과학과 교수·학습 활
             얼 – 초등용』, 한국과학창의재단, 2016.                        성화를 위한 과학 실험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 관리 방안』,
                                                              서울특별시교육청, 2012.
           •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 평가 어
             떻게 할까요(초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5`쪽~6`쪽,         •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
             10`쪽~11`쪽).                                      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
           •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학생 평                 정, 임혁, 정대홍, 정용재, 정종훈, 김진희, 『미래 세대 과학
             가 어떻게 할까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8`쪽~13`쪽,          교육 표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9.
             21`쪽, 26`쪽).                                    • 양일호, 조현준, 『학교 과학 수업에서 실험의 목적에 대한 고
           •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등학교 교사별 과정 중심 평                찰』, 초등과학교육, 2005, (24`권, 268`쪽~280`쪽).
             가 이렇게 하세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 오필석, 『과학 교육에서 기능 중심의 과학 탐구에 대한 비판적
           • 권문호, 박종석,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능’에 대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40`권, 141`쪽~150`쪽).
             한 비판적 검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40`권, 151`쪽        • 이나현, 황신영, 정영란, 『과학의 본성 관련 국내 과학 교육
             ~161`쪽).                                         연구 동향 분석』,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권용주, 남정희, 이기영, 이효녕, 최경희, 『과학 교육 – 사고에            Instruction, 2019, (25`권, 218`쪽~233`쪽).
             서 학습까지』, 북스힐, 2013.
                                                             • 이영희,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Ⅰ교과서 생명
           • 권재술, 김범기, 강남화, 최병순, 김효남, 백성혜, 양일호, 권용            과학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학연
             주, 차희영, 우종옥, 정진우, 『과학 교육론』, 교육과학사, 2012.         구, 2013, (17`권, 173`쪽~197`쪽).


           408     자료 출처 및 참고 문헌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