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 ele_society_3-2_teacher
P. 67

내용   ➊ 농사 도구의 발달                        ➋ 농사 도구의 변화로 달라진 생활 모습
                    정리   • 땅을 갈고 곡식을 심는 농사 도구: 돌괭이 - 괭이, 쟁기  • 한 사람이 수확할 수 있는 곡식의 양 증가
                          - 쟁기를 단 트랙터, 이앙기                  • 식량을 안정적으로 구하고 먹을 수 있게 됨.
                         • 곡식을 수확하는 농사 도구: 반달 돌칼 - 낫 - 탈곡기
                          - 콤바인                                         도움 영상  농사로 인한 변화
                                                                      우리나라에서 벼농사가 시작된 시기는 언제이며, 우리나라의 역사
                     반달 돌칼                                            발전 과정에서 쌀이 가진 의미 등을 설명하는 영상입니다.

                      돌을 갈아서 만든 반달 돌칼을
                    사용하여 곡식을                                                            낫
                    베었습니다.
                                                                                    철로 만든 낫을 사용하여
                                                                                        곡식을 쉽게 베었습
                                                                                           니다.















                                                      곡식을 수확하는
                                                         농사 도구


















                       콤바인


                    기계를 사용해 많은 양의 곡식을
                    빠르게  수확하고  낟알을  자동                                        탈곡기
                    으로 분리합니다.                                                               낟알  껍질을 벗기지 않은
                    보충 설명  콤바인                                벼나 보리 등 곡식에서 낟알을            곡식의 알.
                  논밭 위를 지나다니면서 벼·보리·밀의 곡식을 베는 동시에 낟알을 이       손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삭에서 분리하는 농업 기계를 말합니다. 콤바인이라는 명칭은 수확
                  작업과 탈곡 작업을 동시에 한다는 점에서 ‘결합’의 의미로 쓰인 것입
                  니다. 기계로 수확을 하면서 곡식의 생산량이 늘었으며, 수확과 탈곡
                  을 동시에 하게 됨으로써 농부들의 일손이 줄어들었습니다.
                    농사 도구가 발달하면서 한 사람이 수확할 수 있는 곡식의 양이

                 많아졌습니다. 그 결과 사람들은 점차 식량을 안정적으로 구하고

                 먹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옛날과 오늘날의 생활 모습 67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