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 ele_society_5-1_tutor
P. 63

가. 도입

                                    [ 단원 도입 ]
                                     단원명을 제시하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 기준을 질문으로 제시하여 이 단원에서 배
                                    울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재미있는 도입 활동을 통해 단원의

                                    내용을 미리 짐작해 보고 학습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국토는 우리가 살아가는 터전이다.  우리 국토는                    우리 국토의 위치와 영역을 살펴보고,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의 특성을 탐구해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산지, 평야, 하천, 바다가 고루 발달해 자연환경이                  본다. 이를 통해 우리 국토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우리 국토를 사랑하는 마음과
                                               매우 아름다우며, 사람들은 우리 국토를 잘 가꾸고
                                                                                             국토 발전을 위한 자세를 기를 수 있다.
                2     인권을 존중하는 삶    ......................................................  88  이용하며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고 있다.  3
                      인권 보장과 헌법    ........................................................  114
                                                                      서울은 시장에도
                       법의 의미와 역할     .......................................................  136   참일까? 거짓일까?  사람이 참 많구나.  맛이 좋아 이웃 나라
                                                                               4
                                               다음 그림 속 대화 중 참인 것과 거짓인 것을
                       단원 마무리   ..................................................................  156  찾아 번호를 써 보자.  중국, 일본에도 수출한대.
                       놀이터    ........................................................................  158
                                                                     2
                                                                    우리나라 남쪽 끝      맛있는 딸기     우리 국토의 위치와 영역
                                                                    독도에서 잡은 새우     사세요.
                                                                     사세요.                     우리 국토는 어디에 위치하고,  초)사회1-1_1-1(주제1)  60% 축소 사용
                                                                                              우리나라의 영역은 어디까지일까요?
                      답안 길잡이   ........................................................................  160
                      찾아보기    .............................................................................  162
                      인용 자료    ............................................................................  164  동해안의 넓은 갯벌에서   5
                                                            1
                      활동 자료                국토와            잡은 조개 사세요.       가뭄 때문에 채소 가격이   강원도에서   우리나라의 지형 환경과 기후 환경은
                                                                                                 우리 국토의 자연환경
                                                                            많이 올랐구나.
                                                                                   아침에 딴
                                          우리 생활                                    산나물이에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6
                                                                 7           교통이 참 좋아졌어.
                                                                햇볕과 바람이 좋은   아침에 딴 산나물을 점심에
                                                                바닷가에서 생산된    살 수 있고…….              우리 국토의 인문환경
                                                    펼쳐  보세요     소금 사세요.                            우리나라의 인구, 도시, 산업, 교통은
                                                                                               60% 축소 사용  초)사회5-1_1-3(주제5)  어떻게 변화했을까요?
                                                참인 것                          거짓인 것
                                    [ 생각이 활짝 ]
                                     일상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삽화 이야기로 구성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회 현
                                    상을 친숙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삽화 이야기는 본 차시와 연계되는 전체적인 맥
                                    락을 담고 있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고 효과적으로 학습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확장형 질문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배경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이야
                                    기를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우리 국토의
                                                                   맛있게 먹었던
                                         위치와 영역                    비빔밥이 기억나.
                                                                            서울이 떠올라.
                                                                즐겨 듣는 케이 팝
                                                               (K-pop)이 생각나.  대한민국으로 여행 가고
                                                                           싶은데 어디에 있어?
                                            우리 국토의 위치와 영역이 지니는 특징을 알아보고, 국토를 사랑
                                          하는 마음을 기를 수 있습니다.
                                            우리 국토를 구분하는 기준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행정 구역과
                                         대한이가 우리나라에 관심이 많은 다른 나라 친구들과 화상 통화를 하고 있습니다.  인권 보장과         든 저울이 그려진 법전은
                                          주요 도시의 위치 및 이름을 알 수 있습니다.

                                                                                                      네, 맞아요. 오른손에
                                                                                                      정의와 평등을 상징하죠.
                                                                      헌법                   수호자의 상’이라는     그럼 왼손에
                                                                                           아, 이건 ‘헌법
                                                                                                          든 쇠사슬은요?
                                                                   동해             대한민국은 대한민국에 있는데……,   거예요.
                                        대한민국을 생각하면
                                        무엇이 가장 먼저                           어디에 있다고 설명하지?
                                         떠오르니?
                                                                                                    끊어진 쇠사슬은
                                                                            5학년 학생들이 선생님과 함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는
                                                                           헌법재판소로 견학을 갔습니다.         부당한 권력 앞에서 결코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고 해요.
                                                                     헌법의 의미와 중요성을
                                                                   인권 보장과 관련지어 설명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나라 친구들에게 우리나라의 위치를 어디라고 설명하면 좋을까요?
                                                                     헌법에서 규정하는 기본             헌법 수호자요?
                                                                   권과  의무가  일상생활에             헌법을 지키는   오! 정말
                                                                   적용된  사례를  조사할  수           사람인가요?   멋져요.
                                                                   있습니다.
                                      12    국토와 우리 생활                     1. 우리 국토의 위치와 영역 13
                                                                              어! 선생님.
                                                                              저것 보세요. 웬 동상이
                                                                         이곳이 바로 헌법재판소
                                                                         랍니다. 정원에는 600년 된   세워져 있어요.
                                                                         천연기념물 소나무도 있지요.
                                                                                 어디? 어디?
                                                                                           헌법 수호자의 상을 통해 알 수 있는 헌법의 정신은 무엇인가요?
                                                                   114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2. 인권 보장과 헌법 115
                                                                                    2. 사회과 교과용 도서의 구성 및 활용  61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