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ele_society_5-1_tutor
P. 65

[ 별별 이야기 ]

                                     본문 내용과 관련된 흥미 위
                                                                        이어도를 아시나요
                                                                       성별에 따른 차별을 안타깝게 여긴 인물   어린이들이 더욱 존중받는
                                             우리나라의 영토와 영해              조선 시대에는 학문을 익히고 사회에서 재능을 발휘하는 것은 남자  사회를 꿈꾼 방정환
                                    주의 읽기 자료나 본문에서 다                 이어도는 우리나라 남쪽 끝인 마라도에서 남서쪽으로 약 149 km 떨어진 곳에 있다. 이어도는
                                                          북
                                               100 km
                                              0
                                                                       가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였다.
                                                  북쪽 끝
                                                                       허균의 누이 허난설헌은 뛰어난 글재주에도 불구하고 그 능력을 세
                                                                                                    또한 가정 형편이 어려운 어린이들은 교육을 받
                                                                                                 말대꾸를 하는지
                                                                                            또박또박 말대꾸를 하네!
                                                          남 서  동    해수면에서 약 4.6 m 아래에 잠겨 있는 암초로, 일 년에 몇 차례 파도가 거센 날에만 볼 수 있다.    이 녀석들이 나한테  어린 녀석들이 뭘 안다고  지 못하고 온종일 일을 해야 했다.
                                                                                                  모르겠네.
                                                                       상에 알리지 못하고 죽었다. 누이의 글재주를 안타깝게 여긴 허균은
                                                                    그래서 제주도에서는 이어도를 본 어부들은 집으로 다시 돌아올 수 없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허난설헌이 쓴 시를 모아 시집을 만들었다. 이로써 허난설헌의 작품이
                                    루지 못한 보충·심화 내용을                 자료 등을 조사하고 있다.
                                                                     2003년 우리 정부는 이어도에 종합 해양 과학 기지를 건설하여 주변 바다의 환경이나 기상 관련
                                               서쪽 끝
                                                        동쪽 끝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이어도의 위치와 종합 해양 과학 기지 모습
                                                       동 해
                                                                   조선에서 여자로 태어나   재능을 펼치지 못하고
                                                                     0
                                                                   내 능력을 마음껏 펼치지   200 km  죽은 누이가 안타깝다.   울릉도 독도  옛날에는 장유유서라는 덕목을 잘못 적용하여
                                                                           대한민국
                                    학습자가 쉽고 재미있게 이해                     황해 누이의 시를 모아 시집을   동해  제 누이가 쓴   이렇게 아름다운   어린이를 낮게 대우하는 어른들이 있었다.
                                                                   못하는 게 한이로다.
                                                       울릉도
                                                                         만들어야겠다.
                                                                              시입니다.
                                                        독도
                                                 황 해                             시가 있다니!
                                                                         149km  남해          방정환은  이러한  현실  방정환은  뜻을  같이하  어린이를 인격적으로
                                                                        이어도종합               을 안타깝게 여기고 어린  우리나라의 미래인   는 사람들과 함께 1923년  대우하라.
                                                                        해양과학기지  마라도  일본  중국인  이가 더욱 존중받으며 행  어린이를 위한  에 어린이날 행사를 개최  만 14세 이하의
                                                      대한 해협
                                                                                            복하게 자랄 수 있도록 힘
                                                                                                    하였다.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식으로                 중국  서산다오  287km  276km  도리시마  썼다.  운동을 벌입시다!  어린이에게 노동을
                                               남쪽 끝
                                                                                                         시키지 마라.
                                                     남 해
                                                                                                         어린이가 배우고
                                                                                                         놀 수 있는 시설을
                                                          영해선                                             만들어라.
                                                 이어도종합해양과학기지
                                    표현하였다. 다양한 자료를 해                  안타까운 현실을 시에 담아낸 허난설헌
                                             1
                                                지도에 우리나라의 영토는 초록색으로 색칠해 보자.
                                                                     이어도는 육지나 섬이 아닌 암초로 우리
                                                                    역양에서 자라난 오동나무 한 그루  허난설헌은 가족의 지원으로 학문을 익히고
                                             2  지도의 빈칸에 우리나라 영토의 끝이 어디인지 써 보자.  차가운 비바람 속에 여러 해를 견뎠네.  재능을  키울  수  있었다.  그러나  결국  사회에
                                                                    나라 영역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우리
                                                                                            어린이와 어른
                                                                                               방정환의 노력으로 어린이들이 보호받고 존중되어야 할 존재
                                                                                배타적 경제 수역
                                                                    다행히 보기 드문 장인이 알아보고    경제활동은 우리나라만   모두 존중받아야   라는 생각이 널리 퍼져 나갔다.  어린이는 교육받고
                                                                            서는
                                                                           석유 탐사나 어업 등 여성이라는  이유로  재능을  인정받지  못
                                                                                                         즐겁게 놀면서
                                                                    나라와  가장  가까이  있어  국제법상
                                    석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베어다가 거문고를 만들었네.  할 수 있어요. 하였다. 허난설헌은 이러한 안타까운 현실 속에서 자  할 존재야.  커야 해.
                                             3  지도를 보고 빈칸에 알맞은 말을 써 보자.
                                                                    우리나라의 배타적 경제 수역에 포함
                                                                    그 거문고로 한 곡조 타 보았건만
                                              서해안과  남해안은
                                                      을/를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기준으로,
                                                                    된다. 배타적 경제 수역이란 한 나라가
                                                                    세상에 알아주는 사람이 없네.
                                                                       - 「견흥(遣興)」 중에서 -
                                              동해안은   을/를 기준으로 영해를 설정한다.  독점적으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수역으  신을 오동나무에 빗대어 시에 담아냈다. 있지만 경제활동은
                                                                                   지나갈 수는
                                                                    로, 영해를 설정하는 기준선으로부터 200  할 수 없어요.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                 해리(약 370 km)까지의 수역 중에서 영해      장유유서  어른과 어린아이 사이에는 사회적인 순서와 질서가 있음.
                                             1    한 나라의 주권이 미치는 범위를 (
                                                     )(이)라고 한다.
                                                                    를 제외한 수역이다. 이웃 나라들 간에 배타적
                                                                     옛사람들도 신분이나 성별에 따라 차별받는 사람을 안타깝게 여기며 인간 존중 사상을 직접 실천하
                                                  )은/는 우리나라의 영토와 영해 위에 있는 하늘의 범위이다.
                                             2  우리나라의 (
                                                                     고자 하였다.  ( ◯,  ×  )
   1         우리나라의           환경을    여 구성하기도 하였다.                  94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1. 우리 국토의 위치와 영역 21  1. 인권을 존중하는 삶 95
                                                                    경제 수역이 겹치면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20
                                               국토와 우리 생활
                                                                     우리나라 지형 모형 만들기
             살펴볼까요                                                       우리나라 지형 모형을 만들어 보고, 우리나라의 지형에 대해 말해 보자.
                                                                             남 해
                                                                           독도
                                                                             남 해
                                                                           울릉도
                                                                           동 해  독도  울릉도  이어도  이어도  0  50km
                                                                           동 해  1,000~1,500  1,500~2,000  2,000 이상  육지 높이(m)  200~500  500~1,000  100~200  1,500~2,000  0~100  100~200  200~500  500~1,000  1,000~1,500  0~100
                                                                             황 해  뜯어서 사용하세요. 육지 높이(m)  2,000 이상  5-1  활동 자료  ➊ 5-1  활동 자료  ➊
              땅의  생김새를  지형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땅이  높고  경사진                      황 해  뜯어서 사용하세요.     동 해
                                                                          우리나라 지형 모형 만들기  우리나라 지형 모형 만들기  울릉도  독도
             산지, 땅이 낮고 평평한 평야, 물이 모여 흐르는 하천, 바다와  육지가                      교과서 37쪽에 사용하세요.  50 km  0  교과서 37쪽에 사용하세요.  50km  0  황 해
                                                                                                남 해
                                                                                             육지 높이(m) 1,500~2,000 2,000 이상
             맞닿은 해안 등 다양한 지형이 있다.                                                             500~1,000 1,000~1,500 200~500 0~100 100~200  해양과학기지 이어도종합
                                                                                               의 범례를 보고, 땅의
                                    [ 확인해요 ]                            1      을 뜯어 준비한다.  2    높낮이를 확인한다.
              산지                 평야
                                     주제별 학습이 끝날 때마다 [확인해요]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배운 내용을 되돌아보면서
                                    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확인해요]에서는 지식 영역의 평가뿐만 아니라 기능, 가치·태
                                    도 영역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연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방송 매체, 인터넷 등을 통해 실시간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 만들기
             기상 특보를 주의 깊게 살피면서, 각각의 자연재해에 맞는 행동 요령과
                                                                        3   산지가 모여 있는 곳에 갈색 점토를   4   주요 하천과 해안선은 파란색
                                                                         붙인다.
                                                                                           사인펜으로 따라 그린다. 행동 요령을
             안전 수칙을 알고 실천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지진이 발생할 때의 행동 요령은 장소에 따라 다릅니다. 학교에서의
       산들이 모여 이룬 지형을 산지라고 한다.
   국민재난안전포털     1  우리나라의   환경을  넓고 평평하게 펼쳐진 땅을 평야라고 한다.                참고하여 우리 집에서의 행동 요령을 만들어 보자.
                                         우리나라 지형 모형 만들기
   (safekorea.go.kr)을   살펴볼까요               우리나라 지형 모형을 만들어 보고, 우리나라의 지형에 대해 말해 보자.
   검색해 보면 더 많은                                                      우리나라에는 산지,
                                           독도  울릉도  독도 동 해  울릉도  남 해  남 해  이어도  이어도  0  50km
   정보를 알 수 있어요.     땅의  생김새를  지형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땅이  높고  경사진    동 해  황 해 황 해  1,000~1,500 1,500~2,000 2,000 이상 뜯어서 사용하세요. 육지 높이(m) 육지 높이(m) 뜯어서 사용하세요. 100~200  100~200 200~500  0~100 200~500 0~100 500~1,000  5-1  활동 자료  ➊ 5-1  활동 자료  ➊ 1,000~1,500  500~1,000  2,000 이상  1,500~2,000  동 해 울릉도 독도  평야, 하천, 해안 등   ○○초등학교 지진 발생 시  행  동   요 령
               하천  산지, 땅이 낮고 평평한 평야, 물이 모여 흐르는 하천, 바다와  육지가    우리나라 지형 모형 만들기  우리나라 지형 모형 만들기  50km  교과서 37쪽에 사용하세요.  0 교과서 37쪽에 사용하세요.  50km  0  황 해  다양한 지형이 있어.
                   맞닿은 해안 등 다양한 지형이 있다.   해안       육지 높이(m) 2,000 이상 1,500~2,000 200~500 100~200 1,000~1,500 500~1,000 0~100  이어도종합 해양과학기지  남 해
                                                    의 범례를 보고, 땅의
            자연재해 발생 시  행     동   요  령     1      을 뜯어 준비한다.  2    높낮이를 확인한다.  현재  대피 안내도  • 지진으로 땅이 흔들리는 동안에는 책상
                           평야
                    산지
                                                                       위치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 다리
                                                                               피난 동선  소화기
                                                                     컴퓨터 스마트
        사전 대비가 없는 상황에서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판단과 행동이 어려우므로,                      실  교실    비상구  소화전  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 흔들림이  멈추면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평소에 행동 요령이나 안전 수칙을 알아 둡시다.
                                          3   산지가 모여 있는 곳에 갈색 점토를   4   주요 하천과 해안선은 파란색
                                           붙인다.   사인펜으로 따라 그린다.                         질서를 지키면서 운동장으로 대피합니다.
                 산들이 모여 이룬 지형을 산지라고 한다.  넓고 평평하게 펼쳐진 땅을 평야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산지,          지식 영역
                                         평야, 하천, 해안 등                              도서관  복도에서는 창문 유리가 깨질 수 있으므로
                    하천    해안             다양한 지형이 있어.                      교실  교실  과학  교실
         황사            폭염             홍수                                     준비실        창문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합니다.
                                                                    1    땅의 생김새를 (  )(이)라고 한다.
                            바다와 맞닿은 육지 부분을 해안이라고 한다.  )(이)라고 한다.              우리 집 지진 발생 시  행  동   요 령
   땅의 모양을 따라 흐르는 물줄기를 하천이라고 한다.
                                         1    땅의 생김새를 (
                         바다와 맞닿은 육지 부분을 해안이라고 한다.  2  바다와 맞닿은 육지 부분을 (  )(이)라고 한다.  2  바다와 맞닿은 육지 부분을 (  )(이)라고 한다.
                땅의 모양을 따라 흐르는 물줄기를 하천이라고 한다.
               36    국토와 우리 생활                      2. 우리 국토의 자연환경 37
                                                                      대피 안내도  대피 안내도를 그려 보자.   • 지진으로 땅이 흔들리는 동안에는
  36    국토와 우리 생활                                                                                2. 우리 국토의 자연환경 37
    외출할  때  긴소매  옷을  입거나    햇볕에 오랜 시간 노출되지 않도  경사진 곳이나 산사태가 일어날
    마스크를 쓰고, 외출 후에는 손과   록 외출을 줄이고, 물을 자주 마  수 있는 곳은 피하고, 높은 곳으
                    자연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방송 매체, 인터넷 등을 통해 실시간
    얼굴을 깨끗이 씻는다.  신다. 기상 특보를 주의 깊게 살피면서, 각각의 자연재해에 맞는 행동 요령과  로 빨리 대피한다.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 만들기
                   안전 수칙을 알고 실천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지진이 발생할 때의 행동 요령은 장소에 따라 다릅니다. 학교에서의 행동 요령을
                국민재난안전포털                  참고하여 우리 집에서의 행동 요령을 만들어 보자.
               (safekorea.go.kr)을
               검색해 보면 더 많은
         태풍           폭설과 한파          지진    ○○초등학교 지진 발생 시  행  동   요 령                 • 흔들림이 멈추면
               정보를 알 수 있어요.
                   자연재해 발생 시  행  동   요  령  현재 위치  대피 안내도  • 지진으로 땅이 흔들리는 동안에는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 다리
                                             피난 동선  소화기
                                         컴퓨터 스마트
                 사전 대비가 없는 상황에서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판단과 행동이 어려우므로,   실  교실  비상구  소화전  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평소에 행동 요령이나 안전 수칙을 알아 둡시다.  • 흔들림이  멈추면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키면서 운동장으로 대피합니다.
                                            과학  도서관  복도에서는 창문 유리가 깨질 수 있으므로
                                           교실  교실  교실
                  황사   폭염    홍수             준비실  창문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합니다.
                                             우리 집 지진 발생 시  행 동   요 령
                                          대피 안내도  대피 안내도를 그려 보자.   • 지진으로 땅이 흔들리는 동안에는
                외출할  때  긴소매  옷을  입거나    햇볕에 오랜 시간 노출되지 않도  경사진 곳이나 산사태가 일어날
                마스크를 쓰고, 외출 후에는 손과   록 외출을 줄이고, 물을 자주 마  수 있는 곳은 피하고, 높은 곳으
                얼굴을 깨끗이 씻는다.  신다.  로 빨리 대피한다.
                                                             기능, 가치·태도 영역
                             지진
                       폭설과 한파
    거센 바람에 날아갈 물건은 묶어   태풍 눈이 쌓이지 않도록 치우고, 체온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며, 빠르  • 흔들림이 멈추면
    두고, 창문은 창틀에 테이프로 단  유지를 위해 모자와 장갑 등을 착  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
    단히 고정한다.      용한다.          으로 대피한다.
                거센 바람에 날아갈 물건은 묶어   눈이 쌓이지 않도록 치우고, 체온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며, 빠르
                두고, 창문은 창틀에 테이프로 단  유지를 위해 모자와 장갑 등을 착  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
                단히 고정한다.  용한다.  으로 대피한다.                            각각의 자연재해에 맞는 행동 요령과 안전 수칙을 알고 실천할 수 있다.
                                         각각의 자연재해에 맞는 행동 요령과 안전 수칙을 알고 실천할 수 있다.                   최고야  잘했어  아쉬워
                                                     최고야  잘했어  아쉬워
               54    국토와 우리 생활                      2. 우리 국토의 자연환경 55
  54    국토와 우리 생활                                                                                2. 우리 국토의 자연환경 55
                                                                                    2. 사회과 교과용 도서의 구성 및 활용  63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