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 - ele_society_5-2
P. 6

이 책의
                     이 책의







                                                                  1         고조선의 등장과 건국  이야기를


                                                                            알아볼까요



                                                                             우리 역사에 처음으로 등장한 나라는 고조선이다. 고조선은 어떻게
                                                               청동기  시대  구리와  주석을   등장하였을까?  청동기  시대에  한반도와  주변  지역에서는  힘이  강한
                                                               섞어 만든 그릇과 도구를 사용
                                                               하던 시대.       집단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다른 집단을 정복하거나 그들과 힘을 합쳐
                                                                            세력을 넓혀 나갔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조선이 건국되었다.
                                                               요동  중국의  랴오허강(요하)  고조선은  요동  지방과  한반도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을 기준으로 하여 동쪽 지역을
                                      고조선부터 조선 전기에 이르기까지 나라의 성장과 문화 발전에 이바지한
                                      인물들과  그들의  삶을  살펴본다.  또한  우리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알아   가리킴.  고조선은 중국과 다른 문화를 발전시켰는데, 비파형 동검과 탁자식 고인돌
                                      보면서 우리 문화가 지닌 우수성을 탐구할 수 있다.
                                                                            등이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다.
                         우리나라 곳곳에는 옛날 사람      기원전 2333년  고조선 건국(『동국통감』)
                         들이  남긴  문화유산이  많이     기원전 57년  신라 건국(『삼국사기』)
                         지역에 어떤 문화유산이 있는지   나라의 등장과 발전  기원전 37년  고구려 건국(『삼국사기』)
                 동 해     있다.  왼쪽  그림을  보고  어느
                         살펴보자.          여러 나라는 어떻게                              비파형 동검은 칼 모양이
                                        성장했을까요?
                                              기원전 18년  백제 건국(『삼국사기』)           비파라는 악기를 닮아서
                                                                     비파형
                                              676년  신라, 삼국 통일                   붙여진 이름이에요.
                                                                     동검
                                              698년  발해 건국                 비파    중국 동검과는 달리
                                       독창적 문화를 발전시킨 고려
                                              918년  고려 건국                     칼날과 손잡이를 따로 만들어서     탁자식 고인돌
                          왼쪽  그림에서  내가  알고
                                       고려의 과학 기술과 문화의
                         있는 문화유산을 찾아   표 하고,   우수성을 알아볼까요?  993년  서희, 외교 담판    조립한 것이 특징이에요.
                         짝과 함께 이야기해 보자.                                                            (인천광역시 강화군) 탁자처럼 생긴
                                              1392년  조선 건국
                                                                                                       청동기 시대 지배층의
                                              1443년  훈민정음 창제     비파형 동검                                   무덤이었다.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조선을 세운 사람들은 어떤
                                       나라를 만들고 싶어 했을까요?         (국립중앙박물관)
                                              1636년  병자호란 발발
                                              기원  햇수를 세는 기준이 되는 해로
                                              기원전(B.C.), 기원후(A.D.)로 나뉨.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남 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미리
                                                                                                       우아! 엄청 크네요.
                                  살펴보는 도입 활동                                                          이렇게 큰 고인돌을
                                                                                                     만드는 데 많은 사람이
                        펼쳐  보세요
                                                                                                      필요했을 것 같아요.
                 나라의 등장과              여기는 나정이라고 해.    아주 먼 옛날, 이 지역에는 여섯 개의 마을이
                                     아빠가 이곳과 관련된
                                     신기한 이야기를 해 줄게.
                 발전                 시후는 사람이 알에서 태어났다고   있었어. 어느 날, 여섯 마을의 촌장이 나라를
                                     하면 믿을 수 있니?
                                             세우고 왕을 정하기 위해 회의를 하고 있었지.
                                          네?
                                          사람이 알에서   촌장  한 마을의 우두머리.  14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태어났다고요?
                  고조선 이후 여러 나라가 성장하는 모습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여러 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살펴보고 문화의 우수성을
                 말할 수 있습니다.          그때 한 촌장이 우물가에서 흰말이 무릎을    얼마 후 알에서 남자아이가 나왔는데, 그
                                     꿇고 우는 모습을 보았어. 촌장들이 그곳으로   남자아이가 바로 신라를 세운 박혁거세야.
                                     가 보니 흰말은 사라지고 알이 하나가 있었어.
                 시후는 아빠와 함께 경주에 왔습니다. 여러 문화유산을 찾아
                 도장을 찍으며 여행하던 중, 나정이라는 곳에 도착했습니다.
                                                                           개념을 탐구하고 익히며
                      아빠,
                                       사람이
                     이곳은 어디예요? 여기는   알에서 태어났다는 게   이런 이야기를 건국 신화라고
                                                하는데, 박혁거세뿐만 아니라
                     도장을 찍는 곳이 없네요?
                                      사실일까요?   다른 나라의 왕들도 알에서 태어났다는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어. 신화의 내용을
                                                모두 믿을 수는 없지만, 생각해 볼
                                                 내용도 있단다.
                   이제 도장 찍는
                    칸이 세 개
                    남았네.             왕이 알에서 태어났다고 하면 옛날 사람들은 왕을 어떻게 생각했을까요?
                                                                           배운 개념을 바탕으로 토의, 제작 등
             12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1. 나라의 등장과 발전 13
                                                                           다양한 활동을 해요.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이야기 속
                  질문에 답하며 배울 내용을 예상해 보는
                            생각이 활짝                                         스스로  배운 내용을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은 다시 살펴봐요.
   1   2   3   4   5   6   7   8   9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