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0 - ele_society_5-2_teacher
P. 100

수업 PPT          수업 목표
      5            DVD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를 설명할 수 있다.
              4                    흥선 대원군의 정책과
                                   •조선의 개항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5차시



                                   조선의                           과정을 살펴볼까요




                                                            보충 설명  대원군
                                                          조선 시대에 대원군에 봉해진 사람은 모두 4명으로, 선조의 생부 덕흥 대원군,
                                                          인조의 생부 정원 대원군, 철종의 생부 전계 대원군 그리고 고종의 생부 흥선
                                   흥선 대원군의 정치             대원군입니다. 흥선 대원군을 제외한 3인은 그들이 죽은 뒤 추존된 것이며, 일
                                                          반적으로 ‘대원군’이라고 부르는 인물은 흥선 대원군입니다.
                                      고종이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르자 아버지인  흥선 대원군이 권력을

                                   잡고 개혁에 나섰다.

                                      흥선 대원군은 관리들의 부정부패를 막고 능력에 따라 인재를 고루

                                   뽑았다. 그리고 백성들에게 많은 피해를 주는 서원을 정리하고 양반에
           흥선 대원군   대원군은 조선
           시대에  왕의  후손이  없어        게도 군포를 거두어 농민의 부담을 줄여 주었다.
           친척  중  왕위를  이어  받는
                                      또한 임진왜란 때 불타 버린 경복궁을 다시 지어 왕실의 위엄을 되
           경우, 그 왕의 아버지를 부르
           는 호칭이다.                 찾고자 하였다. 그러나 백성들을 오랫동안 공사에 동원하여 고통을 주
                                   었고, 공사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기부금을 강제로 걷어 가서 양반들

                                   도 불만이 커졌다.                     도움 영상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흥선 대원군이 안동 김씨 세력을 몰아내고 시행한
                                                                여러 개혁 정책과 그 효과를 설명하는 영상입니다.
               서원의 폐단



               서원은  처음에는  훌륭한  학               나라는 서원을 지원하기 위                 조선 후기에 많은 서원이 생
             자들을 제사 지내고, 인재를 길               해 각종 세금을 면제하고 혜택               기면서  나라의  재정이  어려워
             러 내는 지방의 교육 기관이었다.              을 주었다. 이러한 특권을 부여              지고, 서원 선비들은 백성들을
                                             받은 서원이 많이 생겼다.                 가혹하게 수탈하였다.

                                                                                      제사에 필요한 돈을
                                                        서원에 토지와                       내라 하지 않았느냐!
                                                        노비를 주어라!










                                                                                  서원 선비들의 횡포에
                                                                                     살 수가 없네.



           100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