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9 - ele_society_5-2_teacher
P. 99

민화                                            풍속화


                     생활 공간을 장식하기 위해 그려진 민화가                          신윤복과 김홍도는 풍속화를 그려 당시

                    유행하였다. 서민들은 민화에 장수, 성공 등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재미있고 현실감 있게
                    자신의 소망을 담았다.                                    표현하였다.











                              「십장생도」(국립고궁박물관)
                        오래도록 살고 죽지 않는다는 자연과 동식물
                                10가지를 표현하였다.
                                                                             신윤복, 「월하정인」(간송미술관)
                                                                         달이 비추는 밤에 두 연인이 만난 장면을
                                                                               긴장감 있게 표현하였다.











                              「호랑이와 까치」(개인 소장)
                            호랑이는 나쁜 일을 막고, 까치는
                              복을 가져다준다고 믿었다.

                                                 보충 설명  문자도
                                               문자도는 그림 글씨, 꽃 글씨라고도
                                               불립니다. 충(忠), 효(孝), 제(悌), 예(禮)
                                               등 유교적 교훈의 내용을 가진 것과         김홍도, 「고누 놀이」(국립중앙박물관)
                                               수(壽), 복(福), 부(富), 귀(龜), 성(星) 등   고누 놀이를 하는 아이들과 이를 지켜보는
                                               장수와 행복, 기복 신앙적 측면을 강
                                                                            사람들의 표정이 즐거워 보인다.
                                               조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문자도」(국립민속박물관)

                         글자에 의미를 담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오늘날의 모습을 풍속화로 그린다면 어
                                                                             떤 주제로 그리고 싶은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컴퓨터를 이용하여 학교에 가지 않고
                                                                             집에서 수업하는 모습을 그리고 싶습니다.


                            조선 후기 서민들의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면서 (                   서민      ) 문화가 발달하였다.



                                                                                    1.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99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