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ele_society_5-2_teacher
P. 18
수업 PPT 수업 목표 내용 정리
DVD
3~4 • 고구려, 백제, 신라의 성립과 발전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➊ 삼국의 성립
2 삼국의 성립과 • 삼국은 법과 제도를 만들고, 불교를 받아들임.
26차시 • 고조선이 멸망한 후 등장한 여러 나라 중에서 고구
려, 백제, 신라가 왕권을 강화하고 주변 나라들을
정복하며 영토를 넓힘.
발전 과정을 알아볼까요
삼국의 성립
고조선이 멸망한 후 한반도와 주변 지역에 여러 나라가
세워졌다. 그중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가 왕권을 강화하고
고구려
주변 나라들을 정복하며 영토를 넓혀 나갔다.
동해
삼국은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 법과 제도를 만들고, 불교를
받아들였다. 불교는 백성이 왕을 부처처럼 섬기도록 하면서
백제
황해 왕권을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신라
보충 설명 삼국의 불교 수용
삼국은 국왕 주도로 불교를 받아들였는
남해 데, 고구려는 소수림왕 2년(372)에 삼국
중 가장 먼저 불교를 받아들였고, 이어 만일 부처님이 있다면,
삼국의 성립 고구려는 주몽이, 백제는 주몽의 백제가 침류왕 즉위년(384년)에 받아들 제가 죽은 뒤 반드시 이상한
였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라가 법
아들 온조가, 신라는 박혁거세가 건국하였다. 일이 나타날 것입니다.
흥왕 14년(527)에 불교를 공식적으로 받
아들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신라의 불교 공인에 2 이때 왕의 속마음을 꿰뚫어 본
큰 역할을 한 이차돈
이차돈은 자신을 희생하여 기적을
1 일찍이 불교를 받아들인 고구려나 보이려고 하였다.
백제와 달리, 신라는 불교를 받아
들이지 못하였다. 법흥왕은 불교의
3
힘을 빌려 나라를 발전시키려고
이차돈이 죽자 목에서 흰 피가
하였지만 신하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났고 하늘에서는 꽃이 떨어졌다.
이 모습을 지켜본 신하들은 벌을
받을까 두려워 땅에 납작 엎드려
용서를 빌었다. 이후 신라에서는
불교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18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