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ele_society_5-2_teacher
P. 23
내용 ➋ 신라의 삼국 통일
정리 •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과 당군이 함께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킴. 백두산
• 당이 한반도 전체를 차지하려고 함. → 신라가 고구려 유민과 힘을
합쳐 전쟁을 벌여 당군을 한반도에서 몰아냄. → 삼국을 통일함.
당
신라의 삼국 통일
요동 지방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은 당군과 함께 백제를 대동강~원산만을 경계로
삼국 통일 이룩(676)
공격하여 멸망시킨 후에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고구려 멸망(668) 평양성 회양
대동강
마전 신라 군대가
그 당시에 고구려는 수·당과의 전쟁과 지배층의 수곡성 당 군대 격파(675)
적성 매소성
권력 다툼으로 힘이 약해져 있었다. 이 틈을 한주 우산
백제 멸망(660) 동 해
이용하여 신라와 당의 연합군은 고구려를 멸망 신라
사비성 상주
황 해 주류성
시켰다. 기벌포 금성(경주)
신라 해군이 당의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후 당은 한반도 전체 해군 격파(676)
왜
를 차지하려고 하였다. 신라는 당을 한반도에서
남 해 신라군의 진격로
당군의 침입로
몰아내기 위해 고구려의 유민과 힘을 합쳐 전쟁에 탐라 신라와 당의 격전지
신라의 통일 과정
나섰다. 그 뒤 당과의 끈질긴 전쟁 끝에 승리를
유민 망해 없어진 나라의 백성.
거둔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였다.
보충 설명 나당 전쟁
신라는 고구려 멸망 후인 669년부터 본격적으로 당과의 대결을 준비하였고, 670년 김춘추는 당과 연합하여 위기에
7월부터 웅진도독부에 대한 대대적인 공격을 펼쳐 옛 백제 땅을 대부분 점령하였습 빠진 신라를 구했습니다. 신라와 당의
니다. 나당 전쟁의 분수령은 675년에 발생한 매소성 전투였으며, 이 전투에서 신라 연합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데 큰 영향을
가 승리하면서 전세가 신라로 기울었습니다. 이후 676년에 기벌포 전투에서 신라가 끼쳤지만, 신라가 스스로의 힘이
당에 승리함으로써 당군이 한반도에서 철수하였습니다.
아닌 당을 끌어들여 삼국을 통일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당은 고구려를 공격하기 위해
기회를 엿보다 신라의 요청을 받아
지도상의 유의점
들였다. 학생의 선택에 대해 옳고 그
름을 판단하지 않도록 합니다.
고구려와 백제를
백제를 먼저 멸망시키면, 멸망시킨 뒤 대동강 이남의 내가 김춘추였다면 어떤 선택을
신라가 당군의 평양성 땅을 신라에 주겠소. 했을지 이야기해 보자.
공격을 직접 도울 수
있습니다. 예시 답안
• 당에 도움을 요청하겠습니다. 백제와 고구려의 공
격을 받아 신라가 멸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당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나라를 구해야 한다고 생각합
니다.
김춘추 • 백제, 고구려와 협상하여 스스로 위기 상황을 해결
당 태종 할 것입니다. 당이라는 외세의 도움을 받아 같은 민
족을 공격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신라의 ( 김춘추 )은/는 당으로 건너가 신라와 당의 연합을 이끌어 냈다.
1. 나라의 등장과 발전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