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 ele_society_5-2_teacher
P. 28
수업 PPT 수업 목표
DVD
7~8 • 삼국의 고분에서 나온 문화유산을 통해 고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말할 수 있다.
5 삼국의 문화를 알아볼까요
•고대 불교문화의 발달 모습과 우수성을 설명할 수 있다.
26차시
내용 ➊ 삼국의 고분 문화
정리 • 삼국 시대의 사람들은 현재의 삶이 죽어서도 이어진다고 믿음. → 죽은 사람을
위해 무덤을 만들고 껴묻거리를 넣음.
• 고분의 벽화나 껴묻거리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의식주나 종교 등의 생활 모습을
알 수 있음.
고분 문화
삼국 시대의 사람들은 현재의 삶이 죽어서도 이어진다고 믿었다.
고분 옛날에 만들어진 무덤.
그래서 죽은 사람을 위해 무덤을 만들고 껴묻거리를 넣었다. 고분에는
껴묻거리 죽은 사람과 함께
무덤에 묻는 물건.
다양한 벽화나 껴묻거리가 남아 있는데, 이것으로 그 당시 사람들의
벽화 벽에 그린 그림.
의식주나 종교 등의 생활 모습을 알 수 있다.
보충 설명 사신도
사신은 동쪽의 청룡, 서쪽의 백호, 남쪽의 주작, 북쪽의 현무를 말합니다. 동서남북에서 우주
고구려 의 질서를 지키는 사신의 개념은 중국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의 고분
벽화에 사신도가 그려지면서 사신의 개념이 본격적으로 수용되었는데, 특히 6세기 이후에
그려진 고분 벽화에 사신이 중요한 그림의 제재로 등장하였습니다. 이 시기에 사신은 단순
한 방위신의 성격에서 벗어나 무덤을 지키는 수호신, 나아가 고구려 중심의 천하를 지키는
수호신으로 위상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구려는 고분의 벽과 천장에 인물과 풍속 등에 관한 다양한
그림을 남겼다. 이를 통해 고구려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 수 있다.
사신도(평안남도 강서군) 동서남북의 네 방위를
지키는 신 중 북쪽의 현무를 그린 그림이다.
고구려 사람들의
부엌에 무엇이 있었는지
확인해 볼까요?
예시 답안
•불을 피우는 아궁이가 보입니다.
•커다란 솥이 보입니다.
안악 3호분(황해남도 안악군) 고분의 벽에 부엌, 고기 창고 등이 그려져 있다.
28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