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ele_society_5-2_teacher
P. 29

내용   ➋ 삼국의 고분
                         정리  • 고구려: 고분의 벽과 천장에 인물과 풍속에 관한 다양한 그림을 남김.

                             • 백제: 벽돌을 쌓아 만든 무령왕릉에서 백제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무령왕릉에서 왜 중국과        예시 답안
                               의 물건이 나옴. → 백제가 주변 나라와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음.
                    백제       • 신라: 경주 대릉원에 삼국 통일 이전의 고분이 모여 있음. → 천마총과           일본의 문화유산이        백제가 중국이나 일본과 교류
                                                                                                  하면서 그들의 문물을 받아들
                               황남 대총에서 금제 허리띠와 금관이 나옴, 천마총에서 천마도가 나옴.              나왔을까요?         였기 때문입니다.

                   백제의 무령왕릉은 벽돌을 쌓아 만든 무덤이다. 무령왕릉
                 에서는 백제의 물건뿐만 아니라, 중국의 화폐와 일본의

                 소나무로 만든 관 등 많은 문화유산이 나왔다. 이를 통해
                 백제가 주변 나라와 활발하게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무령왕릉 내부




                 청동 다리미와 금동 신발
                    (국립공주박물관)
                                                오수전
                일본의 고분에서 나온 것과
                                             (국립공주박물관)
                      비슷하다.
                                        중국의 화폐로, 백제와 중국이
                                         교류하였음을 보여 준다.
                                                                                              무령왕릉 석수
                                                                                             (국립공주박물관)
                                                                       청동 수저
                                                                     (국립공주박물관)           무덤을 지키는 짐승 모양의
                                          경주에 왕과 왕비의                                           돌조각이다.
                                        무덤이 모여 있는 까닭은        보충 설명  무령왕릉의 가치
                    신라                      무엇일까요?         무령왕릉은 우리나라에서 무덤의 주인공을 확인한 최초의 왕릉이라는 점에서 고고학적·
                                                           역사적 가치가 있습니다. 백제 고분이 대부분 도굴의 피해를 입었으나, 무령왕릉은 완전
                                       예시 답안               하게 원형을 유지한 채 발견되었으며, 무덤 안에서 발굴된 유물 중 연대가 확인된 것은
                                      경주가 신라의 수도 금성이었기     이후 삼국 시대의 문화를 연구하는 기준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때문입니다.
                   경주의 대릉원에는 삼국이 통일되기 전의 신라 고분이 모여 있는데,

                 신라의 왕, 왕비, 귀족 등의 고분으로 보인다. 여기에서 신라의 많은
                 문화유산이 발견되었다. 천마총과 황남 대총에서 금제 허리띠와 금관이

                 나왔고, 천마총에서 천마도가 나왔다.

                                                            보충 설명  천마도
                                                          천마도는 말의 안장 양쪽에 달아 늘어뜨리는
                                                          장니에 그려진 말(천마) 그림입니다. 그림 속           황남 대총 금관
                                                          천마는 꼬리를 세우고 하늘을 달리는 모습입             (국립경주박물관)
                                                          니다. 다리 앞뒤에는 고리 모양의 돌기가 나와
                                                          있으며, 혀를 내민 듯한 입의 모습은 신의 기
                                                          운을 느끼게 합니다. 당시 사람들이 흰색 천마
                                                          가 죽은 사람을 하늘 세계로 실어 나르는 역
                                                          할을 한다고 믿었음을 짐작하게 합니다.

                             천마도(국립경주박물관)







                                                                                         1. 나라의 등장과 발전 29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