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ele_society_5-2_teacher
P. 39
압록강 왕건의 진격로
내용 ➌ 고려의 후삼국 통일 견훤의 진격로
정리 • 왕건이 신라와 좋은 관계 유지, 후백제와는 대립함. 안북부 발해 유민 포용
(안주)
• 견훤이 왕위 다툼을 피해 후백제를 탈출하여 고려로 넘어옴. → 신라 경순왕이 화주(영흥)
스스로 나라를 고려에 넘겨줌. → 왕건이 후백제를 물리치고 후삼국을 통일함. 서경(평양) 고려 건국(918)
(왕건)
고려의 후삼국 통일 고려
송악(개성) 철원
왕건은 신라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였지만 후백제와는
동 해
대립하였다. 왕건은 한때 후백제와의 전투에서 패하여 황 해 천안
운주 고창(안동)
후백제 멸망 후백제
위기를 겪기도 하였으나, 몇 년 뒤 후백제군에 크게 승리 (936) 선산 신라
완산주 금성(경주)
공산
(전주) 합천 (대구)
하였다. 강주 신라 항복
(935)
나주
한편 후백제에서 왕위 다툼이 일어나자 견훤이 탈출 남 해
건국 전
하여 고려로 넘어왔다. 신라의 경순왕은 더 이상 나라를 왕건 점령지
탐라 일본
유지하기 어렵게 되자 스스로 나라를 고려에 넘겨주었다.
이후 왕건은 혼란 상태에 빠진 후백제를 물리치고
후삼국 통일 고려는 후백제와 신라를 통합하고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발해 유민까지 받아들여 민족 통일을 이루었다.
보충 설명 왕건의 혼인 정책
왕건의 부인은 기록된 사람만 29명이었습니다. 왕이 되기 전 혼인한 왕비를
제외하고 왕이 된 이후의 혼인은 모두 정략결혼이었습니다. 왕건은 정략결
혼으로 정치적 동맹을 이루고 왕실을 확대할 수 있었습니다. 부인이 많은 만
왕건과 호족의 관계 큼 왕건은 자식도 많아 왕자 25명과 공주 9명을 두었습니다. 이러한 정략결
혼은 왕건이 죽은 후에 왕위 쟁탈전이 격화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왕건이 혼인한 부인들의 출신 지역 왕건의 가계도
황주
신주 동주
평산
정주 춘주
명주
광주
충주
홍주
의성부
해명
합주 경주
진주
승주
나주
아들 25명 딸 9명
1 왕건은 왜 여러 지역의 호족 딸과 혼인했는지 써 보자.
예시 답안
지방에서 힘이 강한 호족을 자신의 편으로 만들기 위해 호족의 딸과 혼인하였습니다.
2 왕건이 죽은 후에 그의 자식들과 호족들에게 어떤 문제가 생겼을지 써 보자.
예시 답안
왕건의 자식들, 그들의 외가에 해당하는 호족들이 왕위를 둘러싸고 다툼을 벌였을 것 같습니다.
2. 독창적 문화를 발전시킨 고려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