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5 - ele_society_5-2_teacher
P. 75
병자호란의 결과 내용 정리
➎ 병자호란의 전개와 결과
전쟁 이후 조선과 청은 신하와 임금의 관계를 맺었다. 청은 조선의 • 전개: 후금이 나라 이름을 청으로 고침,
조선에 임금과 신하의 관계로 바꿀 것을
세자를 비롯해 많은 신하와 백성을 청으로 끌고 갔다. 포로로 끌려간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함. → 청군이 조선
에 쳐들어옴. → 인조와 신하들이 남한산
조선인은 추위와 굶주림 때문에 죽기도 하였다. 이들은 청에 몸값을 성으로 피신함. → 신하들이 청과 싸우자
는 입장과 화의하자는 입장으로 나뉨.
내야만 조선에 돌아올 수 있었기 때문에, 몸값을 내지 못한 백성 대부분은 • 결과: 인조가 삼전도에서 청 태종에게 항
복함. → 조선과 청이 신하와 임금의 관
조선으로 돌아오지 못하였다. 계를 맺음, 조선의 세자를 비롯해 수많
은 신하와 백성이 청에 포로로 끌려감.
병자호란 당시 청으로 끌려갔던 사람들의 삶
다음 글을 읽고 병자호란 때 청으로 끌려갔던 사람들에 대해 알아보자.
청군이 수십만 명의 조선인을 끌고 갔다. …… 조선인이 무언가를 말하려고 하면 쇠몽둥이로 때렸다.
…… 청의 도읍에 도착하기까지 60일 동안 옷을 벗지 못한 채 자야 했기 때문에 온몸에 이가 들끓었다.
조선인을 반드시
데리고 와야 합니다.
왕은 빈부귀천 구분
없이 백성을
대해야 합니다.
최명길
1 조선인이 청으로 끌려갈 때 어떤 어려움을 겪었는지 써 보자.
예시 답안
•청군에게 맞기도 하였습니다.
•오랫동안 옷을 벗지 못하고 잠을 자서 온몸에 이가 들끓었습니다.
2 청에 끌려간 조선인을 데리고 오는 것에 대해 최명길은 어떻게 생각하였는지 써 보자.
예시 답안
최명길은 청에 끌려간 조선인이라면 양반이든 천민이든 반드시 데리고 와야 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이 이끄는 ( 수군 )와/과 곽재우를 비롯한 ( 의병 ) 등이 활약
하였다.
3.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