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6 - ele_society_5-2_tutor
P. 366
인용 자료 출처 176쪽 이병희,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3–고려』,
가람기획, 2013, 569~570쪽 / 김인호 외, 『미래를 여는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한국의 역사 2』, 웅진지식하우스, 2011, 73쪽 / 우리역사
넷(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treeId=01
139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0401&tabId=01&levelId=hm_048_0030), 『사이언스타
Contents/SearchNavi?keyword=%EC%88%9C%EC 임즈』, 2010. 9. 1.
%88%98%EB%B9%84&ridx=0&tot=8) 177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153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Contents/Item/E0049085) / 우리역사넷(contents.history.
Contents/Item/E0003937) / 강종훈 외, 『미래를 여는 go.kr/mobile/kc/view.do?levelId=kc_
한국의 역사 1』, 웅진지식하우스, 2015, 63~64쪽 n201500&code=kc_age_20) / 김인호 외, 『미래를 여
는 한국의 역사 2』, 웅진지식하우스, 2011, 206~208쪽
154쪽 우리역사넷(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
178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do?levelId=tg_001_0070) / 강종훈 외, 『미래를 여는
Contents/SearchNavi?keyword=%ED%8C%94%EB%
한국의 역사 1』, 웅진지식하우스, 2015, 159쪽 / 서의식,
A7%8C%EB%8C%80%EC%9E%A5%EA%B2%BD&rid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1–고조선·삼국』, 가람
x=1&tot=10), 김인호 외,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2』,
기획, 2013, 367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
웅진지식하우스, 2011, 201쪽 / 합천군누리집(www.
aks.ac.kr/Contents/Item/E0055015)
hc.go.kr/06572/ 06700/06768.web)
155쪽 강봉룡,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2–통일
179쪽 김인호 외,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2』, 웅진지식하우
신라·발해』, 가람기획, 2013, 40쪽, 46쪽 / 강종훈 외,
스, 2011, 231~232쪽 / 이병희,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1』, 웅진지식하우스, 2015,
은 이야기 3–고려』, 가람기획, 2013, 500쪽/ 우리역사넷
203~204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 (contents.history.go.kr/mobile/eh/view.do?levelId=eh_
ac.kr/Contents/Item/E0011307) / 강종훈 외, 『미래를 여 r0160_0010) / 고려청자박물관(www.celadon.go.kr/
는 한국의 역사 1』, 웅진지식하우스, 2015, 231~232쪽 contentsView.do? menuId=celadon0101000000)
156쪽 우리역사넷(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 185쪽 문화재청(www.cha.go.kr/korea/heritage/world_
do?levelId=kc_n100400&code=kc_age_10) / 문화콘 heritage/culture_treasure_03.jsp?mc=KS_01_03_01)
텐츠닷컴(www.culturecontent.com/content/ / 국가문화유산포털(www.heritage.go.kr/heri/cul/
contentView.do?content_id=rp070315040001) / 우리 culSelectDetail.do?ccbaCpno=1331101210000&page
No=1_1_2_0)
역사넷(contents.history.go.kr/mobile/tg/view.
199쪽 김인호 외,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2』, 웅진지식하우스,
do?subjectCode=tg_age_20&tabId=01&levelId=tg_0
2011, 265~266쪽 / 서울역사박물관, 『서울 한양 도성』,
01_0030&ganada=&pageUnit=10)
2019, 38쪽 / 나각순, 「서울 한양 도성의 기능과 방위 체제」,
157쪽 디지털공주문화대전(gongju.grandculture.net/gongju/
서울역사편찬원, 2012, 14쪽 / 김돈, 『뿌리 깊은 한국사 샘
toc/GC01700545 / 국가문화유산포털(www.heritage.
이 깊은 이야기 4–조선 전기』, 가람기획, 2019, 64~65쪽
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2
200쪽 문화재청, 『읍성의 보존 관리 매뉴얼』, 2013, 38~40쪽
070000&pageNo=1_1_1_1) / 『사이언스타임즈』, 2016.
/ 이상훈, 「조선 시대 지방 관제와 목민관 한범석」, 경상
3. 28.
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4, 166~167쪽 / 권내
175쪽 김인호 외,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2』, 웅진지식하우
현 외,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3』, 웅진지식하우스,
스, 2011, 25쪽, 31쪽 / 이병희,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 2016, 75~76쪽
은 이야기 3–고려』, 가람기획, 2013, 60쪽 / 전국역사교 201쪽 박준호, 「조선 후기 평민 여성의 한글 소지 글쓰기」, 한
사모임,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1』, 휴머니스트, 2014, 국국학진흥원, 2018, 435~437쪽 / 한국교원대학교 역
127쪽 / 박현숙 외, 『모두의 한국사』, 예경, 2019, 429쪽 사교육과, 『아틀라스 한국사』, 사계절, 2016, 108쪽
364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