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7 - ele_society_5-2_tutor
P. 367

202쪽   권내현 외,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3』, 웅진지식하우스,        239쪽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www.e-donghak.or.kr/bbs/
                       2016, 89~90쪽 / 고양시청(www.goyang.go.kr/haengju/    dataimg/ch1203_%EC%A0%84%EB%B4%89%EC%A
                       haengju01/haengju01_2.jsp)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80%EA%B3%B5%EC%B4%88.pdf) / 우리역사넷
                       (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0835)     (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
                 203쪽   권내현 외,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3』, 웅진지식하우                nh_042_0020_0030_0010) / 정숭교, 『미래를 여는 한
                       스, 2016, 154~155쪽 / 우리역사넷(contents.history.go.kr/  국의 역사 4』, 웅진지식하우스, 2011, 146~147쪽
                       front/hm/view.do?treeId=010601&tabId=03&levelId=  259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hm_099_0020) / 경기도박물관, 『남한산성』, 2011, 2쪽, 58      Contents/Item/E0042959) / 이민원, 「광무 황제와 헤이
                       쪽 / 우리역사넷(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  그 특사–고종의 헤이그 특사 파견 논리와 구상을 중심
                       reeId=0100&levelId=tg_003_2580&ganada=&pageUn    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9, 2007, 105~109쪽 / 홍
                       it=10)                                           순권, 「한말 일본군의 의병 진압과 의병 전술의 변화 과
                                                                        정」, 한국독립운동사연구 45, 2013, 46~48쪽 / 한국민
                                                                        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Contents/
                                                                        Item/E0035203)
                                                                  260쪽   신용하, 「애국 계몽 운동에서 본 국채 보상 운동」, 한국민
                                                                        족운동사연구 8, 1993, 17~19쪽 / 동북아역사넷(contents.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nahf.or.kr/item/item.do?levelId=edeah.d_
                 235쪽   권내현 외,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3』, 웅진지식하우                0005_0040_0020_0030) / 김정인, 『한국 근대사–2, 식
                       스, 2016, 122~123쪽 /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역사             민지 근대와 민족 해방 운동』, 푸른역사, 2016, 21~35쪽 /
                       용어사전』,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283~284쪽               지역앤문화(ncms.nculture.org/farming/story/3183), 「토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조사 사업과 일제 강점기 농업」
                       Contents/SearchNavi?keyword=%EC%A0%95%EC   261쪽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db.history.go.
                       %A1%B0&ridx=1&tot=842) / 우리역사넷(contents.history.  kr/samil/) / 이준식,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이념적 지
                       go.kr/front/tg/view.do?treeId=0200&levelId=tg_003_232  향–대한민국 임시 헌장(1919) 해석을 중심으로」, 인문과
                       0&ganada=&pageUnit=10)                           학연구 24, 2017, 105~109쪽 / 이준식, 『한국근대사 2, 식
                 236쪽   우리역사넷(contents.history.go.kr/mobile/km/view.do  민지 근대와 민족 해방 운동』, 푸른역사, 2016, 115~125쪽
                       ?levelId=km_028_0050_0030_0010) / 사이언스타임         / 변태섭, 『한국사통론』, 삼영사, 2004, 456쪽
                       즈(www.sciencetimes.co.kr/news/세계에서-가장-과    262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학적으로-쌓은-성곽)                                      Contents/Index?contents_id=E0025066) / EBS 다큐,
                 237쪽   권내현 외,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3』, 웅진지식하우                「광복 75주년 특별 기획 ‘승리의 기억, 봉오동 전투·독
                       스, 2016, 226~228쪽 / 권내현 외, 『미래를 여는 한국            립군의 위대한 유산, 청산리 전투’」 / 류승렬, 『뿌리 깊
                       의 역사 3』, 웅진지식하우스, 2016, 170~171쪽 / 박평식           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7–현대』, 가람기획, 2016,
                       외,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5–조선 후기』,                170~172쪽 / 국립 일제강제동원역사관(fomo.or.kr)
                       가람기획, 2015, 359쪽 / 권내현 외, 『미래를 여는 한국       263쪽   이경훈, 「역사 부정의 파고 속, 일본군 ‘위안부’ 역사 교
                       의 역사 3』, 웅진지식하우스, 2016, 281~283쪽                 육, 어떻게 해야 하나?」, 역사와교육 20, 2021, 81~86
                 238쪽   윤진영, 『조선 시대의 삶, 풍속화로 만나다』, 다섯수레,                쪽 / 류승렬,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7 –
                       2015, 8~9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          현대』, 가람기획, 2016, 229~232쪽 / 김광재, 「한국 광
                       ac.kr/Contents/Item/E0046384) / 우리역사넷(contents.  복군의  한·미  연합  훈련」,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5,
                       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      2000, 374~376쪽 / 류승렬,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
                       i400800&code=kc_age_40)                          은 이야기 7 – 현대』, 가람기획, 2016, 178~185쪽


                                                                                                         365
                                                                                           인용 자료 및 사진 출처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