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ele_society_6-1_teacher
P. 16
내용 ➋ 4·19 혁명의 과정
정리 •4 월 19일 전국에서 학생들과 시민들이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기 위해 시위를 벌임.
•이승만 정부가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하여 수많은 사람이 다치거나 죽음.
•학생들과 시민들의 저항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대학교수들까지 시위에 나섬.
4·19 혁명
혁명 헌법의 범위를 벗어나 이승만 정부가 부정한 방법으로 선거에서 이기자, 학생들과 시민들은
국가의 기초나 제도 등이 근본
적으로 바뀌는 것. 3·15 선거가 무효라고 주장하며 시위를 벌였다. 마산에서는 시위에
지도상의 유의점 참여한 사람들을 경찰이 무력으로 진압하여 희생자가 발생하였다.
학생들은 4·19 혁명이 4월 19일에
일어난 시위만을 이야기하는 것으 특히 시위 도중 경찰 때문에 사망한 고등학생 김주열의 시신이 마산
로 잘못 이해할 수 있으므로 4·19
혁명의 전개 과정에 대한 자세한 앞바다에서 발견되면서 시위는 더욱 확산되었다.
설명이 필요합니다.
1960년 4월 19일, 이승만 정부에 항의하는 학생들과 시민들의 시위
가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이들은 “정부통령 선거 다시 하라.”, “정부는
마산 사건을 책임져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고
자 하였다(4·19 혁명).
강압적인 힘으로 억눌러 진정시킴.
이승만 정부는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하였고 이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이 다치거나 죽었다. 그러나 학생들과 시민들의 저항은 계속해서
이어졌다. 도움 영상 4·19 혁명
4·19 혁명의 배경이 된 3·15 부정 선거를 보여 주고, 4·19 혁명의
전개 과정과 결과를 알 수 있는 영상입니다.
사진으로 보는 4·19 혁명
정부통령 선거 다시 하라
4월 13일, 고 김주열을 추모하는 학생들 4월 19일, 재선거를 요구하는 시위대 4월 25일, 시위에 동참한 대학교수들 4월 26일, 이승만 하야 소식에 환호하는 시민들
보충 설명 김주열 보충 설명 4월 19일, 재선거를 요구하는 시위대
김주열은 3·15 부정 선거를 규탄하는 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실종된 지 경찰은 경무대 앞에서 재선거를 요구하는 시위대를 향해
약 한 달 만인 4월 11일에 마산 앞바다에서 눈에 최루탄이 박힌 참혹한 총을 발포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4월 19일 당일에만 123
시체로 발견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16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