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ele_society_6-1_teacher
P. 20

내용   ➍ 5·18 민주화 운동의 원인
                                      정리   • 박정희가 죽은 후 전두환과 일부 군인들이 또다시 군사 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잡음.
                                           • 군사 정변을 일으킨 군인들이 계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민주화 시위를 탄압함.

              도움 영상  5·18 민주화 운동   5·18 민주화 운동
                    5·18 민주화 운동의
                    원인과 전개 과정,        박정희가 죽고 난 후 사람들은 민주적인 사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
                    5·18 민주화 운동
                    당시 성숙했던 광      하였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전두환과  일부  군인들이  또다시
                    주 시민들의 모습,
                    5·18 민주화 운동의   군사 정변을 일으키고 정권을 잡았다.
                    의의를 보여 주는
                    영상입니다.            학생들과  시민들은  다시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군사

           계엄령  전쟁 등 국가 비상사        정변을  일으킨  군인들은  계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시위나  집회
           태가 일어났을 때 군대를 동원
           하여 사회의 안정과 질서를 유        활동을 금지하고 대학교를 강제로 휴교하는 등의 조치를 내렸다.
           지하기 위한 긴급 명령.                                              학교가 학생을 가르치는 업무를 한동안 쉼.
                                      이에 맞서 1980년  5월,  전라남도  광주에서  대규모  민주화  시위가

                                   일어났다. 광주 시민들은 “계엄령을 해제하라.”, “전두환은 물러가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전두환과 일부 군인들은 시위를 진압하려고 광주에 계엄군을 보냈다.

              보충 설명  계엄군           계엄군은 학생들과 시민들을 마구 때리고 총을 쏘았다. 이 과정에서
            계엄군은 전쟁 등 국가 비상사
            태에 질서 유지와 경계를 맡        수많은 사람이 다치거나 죽었다. 분노한 광주 시민들은 시민군을 조직
            은 군대 또는 군인을 말합니다.
            5·18 민주화 운동 당시 특전사     하여 계엄군에 대항하였다(5·18 민주화 운동).
            공수 부대원들이 광주에 계엄
            군으로 투입되어 시위를 진압
            하였습니다.
                   계엄군에 맞서 있는 광주 시민들


                                                                          보충 설명  시민군
                                                                        5월 21일, 계엄군의 집단 발포로 54명의 사람이 죽고
                                                                        500여 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이에 광주 시민들은
                                                                        시민군을 조직하고 나주와 목포 등지에서 무기고를
                                                                        털어 무장하였습니다.


                                                                        계엄령 해제를 요구하는 시위 모습
















             지도상의 유의점
           5·18 민주화 운동과 관련된 사진이나 동영상 자료를 추가로
           보여 줄 경우 학생들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제시합니다.

           20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