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ele_society_6-1_teacher
P. 25
내용 ➊ 6월 민주 항쟁의 원인
정리 • 전두환 정부가 학생들과 시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탄압하며 정권을 유지해 나감.
•전두환 정부가 학생들과 시민들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를 무시하고 기존 헌법을 유지하겠다고 발표함.
숨기고 있는 사실을 강제로
6월 민주 항쟁 알아내기 위해 육체적·정
신적 고통을 주며 신문함.
1987년에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였던
대학생 박종철이 경찰에 끌려가 고문을
받다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정부
가 이 사건을 조작하고 숨기려고 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정부를 향한 국민의 불신이
더욱 커졌다.
이즈음 전두환 정부는 다음 대통령도
고문 수사를 비판하는 시위
간선제로 뽑겠다고 발표하였다.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해 오던 학생들과 시민들은 크게 분노하였고, 시위가
더욱 확산되었다. 보충 설명 박종철
서울대학교에 다니던 박종철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문을 받다가 숨졌습니다. 부검의의 증언과
언론 보도, 천주교 정의 구현 전국 사제단의 폭로로 정부가 이 사건을 은폐하고 조작하려고 했다
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박종철의 죽음은 6월 민주 항쟁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학습 영상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한 까닭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한 까닭 6월 민주 항쟁 이전 대통령 선거 방식을 설명하고
6월 민주 항쟁 당시 국민들이 대통령 직선제를 요
구한 까닭을 생각해 보게 하는 영상입니다.
내 뜻을 대표할
1 1972년에 박정희가 대통령 직선제를 선거인단을 뽑자 !
간선제로 바꾼 후 전두환도 간선제를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2 간선제는 국민이 자신의 의견을 대표
1972년 1987년 당시 할 선거인단을 뽑고, 그 선거인단이 대
통령을 뽑는 것이 본래의 의미이다.
국민의 뜻을 대표하여
박정희 대통령 전두환 대통령 대통령을 뽑자 !
선거인단
선거인단 후보 대부분이
정부 지지자네 ?
4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국민들은 직접
3 그러나 박정희와 전두환은 정부 지지
대통령을 뽑을 수 있도록 헌법 개정을
자들로 선거인단을 구성하여 간선제를
요구하였다. 대통령 직선제로
권력 유지 수단으로 악용하였다.
바꾸어라 !
전두환 90.2 %로 우리가 직접 대통령을
당선 ! 뽑아야겠어 !
선거인단
지도상의 유의점
6월 민주 항쟁 당시 국민들이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였기 때문에
1.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 참여 25
학생들이 간선제를 비민주적인 선거 방법으로 잘못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간선제 자체가 문제가 아
니라 정부에서 간선제를 악용한 것이 문제임을 강조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