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8 - ele_society_6-1_teacher
P. 48
내용 정리
➋ 다수결의 원칙
• 의미: 다수의 의견이 소수의 의
견보다 합리적이라고 가정하고
다수의 의견을 채택하는 의사 이처럼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대화와 토론을 거쳐 여러 의견을 따져
결정 방법
• 필요성: 대화와 토론, 양보와 타 본 후, 양보와 타협으로 서로의 의견을 조정한다. 하지만 언제나 양보
협으로 문제가 잘 해결되지 않 와 타협에 이르는 것은 아니다. 이때에 사람들은 다수결의 원칙으로
을 때 쉽고 빠르게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음.
문제를 해결한다.
가정 사실인지 아닌지 분명하 다수결의 원칙이란 다수의 의견이 소수의 의견보다 합리적이라고 가정
지 않은 것을 임시로 인정함.
하고 다수의 의견을 채택하는 의사 결정 방법이다. 다수결의 원칙을
도움 영상 다수결이란? 따르면 쉽고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의견이 항상
다수결의 뜻을 설명하는
영상입니다. 옳은 것은 아니므로 소수의 의견도 존중해야 한다.
수업 제안
우리 생활에서 다수결의 원칙이 활용되는 사례를 학생들이 직접 찾아보게
합니다. 또 다수결의 원칙을 활용할 때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하는지 토론해
보고, 소수의 의견이 존중되어야 하는 까닭을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합니다.
다수결의 원칙을 따를 때 주의할 점
다음 사례를 보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생각해 보자.
사회 복지 회관에 가서
찬성 ! 할아버지, 할머니의
찬성 ! 말벗이 되어 드리는 건
모둠별 봉사 활동을 어려운 분들한테
해야 하는데 우리 모둠은 기부할 수 있도록 어때?
어떤 방법으로 하면 용돈을 모으자.
좋을까?
네 명 중 세 명이
용돈 모으는 데 찬성했으니
너도 다수결의 원칙에
따라야 해.
나는 돈이
없는데 …….
1 위 사례의 의사 결정 방법에는 어떤 문제가 있는지 써 보자.
•충분한 대화와 토론을 거치지 않고 무조건 다수결의 원칙으로 결정하였습니다.
•네 명 중 세 명이 찬성했다는 이유로 소수의 의견을 무시하였습니다.
2 1
번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생각해 보자.
충분한 대화와 토론을 통해 다 같이 참여할 수 있는 봉사 활동 방법을 정합니다.
48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