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6 - ele_society_6-2_tutor
P. 226

3차시
                                         교과서  97   쪽
               3       독도를 키려는 노력을


                       알아볼까요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의 독도 방문
                                                                근무 중인 독도 경비대원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독도를 지키기 위해 노력해 왔다. 다음 이야기를   도해  바다를 건넘.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  인  오늘날에는 우리나라가 공식적으로 파견한 독도 경비대가 독도 해
             통해 조선 시대에 독도를 지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살펴보자.              터넷에서  우리나라와  관련된
                                                                잘못된 사실을 찾아 바르게 알  안 경계를 하고 있다. 독도에는 독도 경비대원을 포함한 약 40명의 한
                                                                리는 활동을 하는 민간단체.
                                                                          국인이 거주하며 독도를 지키고 있다. 정부와 민간단체는 독도의 역사
                          안용복과 울릉도 · 독도 「도해 금지령」                          를 올바르게 소개하고, 독도의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
              여기는 조선 땅이니                                                  고 있다.
               물러가시오!
                                조선 숙종 때, 안용복은 울릉도와 독도 근처에 고
                                                                           우리도 우리나라의 소중한 영토인 독도에 관심을 기울여 독도를 지
                                기잡이를 하러 갔다가 바다에서 고기를 잡는 일본
                                                                          키는 데 앞장서야 한다.
                                어부들을 발견하였다. 안용복이 고기잡이를 하는 일
                                본 어부들을 꾸짖자, 이들은 안용복을 일본으로 끌
                                고 갔다. 안용복은 일본에서도 울릉도와 독도가 조
                울릉도와 독도는        선의 땅임을 당당하게 주장하였다.                     독도의 생태계를 지키기 위한 노력
                 우리 땅이오!
                                안용복이 풀려나 조선으로 돌아오면서, 이 일이
                                                                   독도는 다양한 동식물이 살아가는 터전이다. 과거에는 강치라고
                                조정에 알려졌다. 조정에서도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
                                                                  하는 바다사자도 독도에 많이 살고 있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때
                                의 땅임을 분명히 하는 문서를 일본에 보냈다. 일본
                                                                  강치의 가죽, 기름, 뼈를 노린 일본 어부들이 강치를 마구 잡아들였
                                은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땅임을 인정하고, 울릉
                                                                  다. 1970년대 이후에는 강치를 찾아볼 수 없어 멸종된 것으로 보고
                                도와 독도에 일본 어부들이 드나들지 못하도록 하
                                는 「도해 금지령」을 내렸다.                  있다.
                                                                   정부는 강치 멸종과 같은 사례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독도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접  독  일             에 살고 있는 동식물을 조사하고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강치를 잡고 있는 일본 어부들
            땅임을 일본 측에 분명히                     근  도  본
              해야 합니다.                         을  에  인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민간단체도 독도 환경 보호를      울릉도에 설치된 강치 조형물
                                              금  대  의             위한 활동에 관심을 기울이며 적극적으로
                                              지  한  울
                                              함.  릉               참여하고 있다.
                                                도
                           그 말이 옳다.
                                                와
                                     울릉도 · 독도 「도해 금지령」 | 1696년
                                                   97        98
                                          1. 한반도의 미래와 통일 97     98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독도를 지키려는 사람들의 노력을 알고, 우리 영토인
                                                               전시 학습 내용 확인하기
            독도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과 태도를 가진다.
                                                             •  독도가 우리나라의 영토임을 알려 주는 역사적 자료에는
             수업의 흐름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팔도총도」, 『세종실록지리지』
                  • 독도와 관련된 역사적 자료 떠올리기
             도입
                  • 우리나라를 구하려고 노력한 위인 제시해 보기                    등이 있습니다.
                   ➊ 조선 시대 때 독도를 지키려는 노력 알아보기                  동기 유발하기
                   ➋ 오늘날 독도를 지키려는 노력 알아보기                    •  우리나라를 구하려고 노력한 위인들을 말해 볼까요?
             전개
                   ➌ 아! 그렇구나 독도의 생태계를 지키기 위한 노력
                                                              – 이순신 장군, 홍범도 장군 등이 있습니다.
                   ➍ 활동해요 독도를 홍보하는 자료 만들기
                                                             전개
             정리    독도를 지키려는 노력 정리하기
                                                             ➊ 조선 시대 때 독도를 지키려는 노력 알아보기
                                                             •  안용복은 독도를 지키려고 어떤 일을 했나요?

                                                              –  울릉도와 독도 근처에서 고기잡이를 하는 일본 어부
                                                                들을 꾸짖다가 일본으로 끌려갔지만, 울릉도와 독
                                                                도가 조선의 땅임을 당당하게 주장했습니다.


           224    각론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