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6 - ele_society_6-2_tutor
P. 86

⑤  실증적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역사에 대한 이미지를 풍부히 하고 독사 능력(讀史能力)

                                을 기를 수 있다.


                               토의·토론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관심을 가지는 문제에 관해 서로 의견을 말하고 들으면서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수업의 형태가 토의 학습 또는 토론 학습이다. 토론은 토의라는 말과 거

                              의 같은 뜻이지만, 토의는 서로 의견을 나눈다는 뜻이 강하고, 토론은 서로 대립하는 의
                              견을 교환한다는 뜻이 강하다. 토의 학습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누어진다. 개방성의 정도
                              에 따른 열린 수업과 닫힌 수업, 수업 목표에 따른 지도적 토의와 반성적 토의, 운영 방법
                              에 따른 문답식, 심포지엄식, 포럼식 토의, 교사와 학생의 역할에 따른 복습식, 소크라테

                              스식, 세미나식 토의, 논쟁적 요소의 강약에 따른 찬반 토론과 대립 토론 등 수없이 많다
                              (차경수·모경환, 2017: 161∼162). 토의·토론 학습을 전개할 때 교사는 다음과 같은 역
                              할을 할 수 있다(최용규 외, 2014: 298).
                              ①  조정자(moderator): 토론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토론을 감독해야 한다. 토론이

                                격해질 때 상대방의 주장보다는 인격에 초점을 두고 서로를 공격하는 경우가 발생한

                                다. 교사는 토론에 있어서 반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감독해야 한다.

                              ②  중재자(moderator): 토론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은 자칫 토론의 쟁점을 발견하지 못
                                하거나 정확한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 밋밋한 토론 혹은 겉도는 토론으로 일관되기 쉽
                                다. 교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토론의 쟁점을 제시하고 이를 중심으로 활발한 의견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재할 수 있다.

                              ③  제안자(proponent): 토론에 있어서 교사가 새로운 의견을 제안하고 이에 대해 찬반 여
                                부를 토론하도록 이끌 수 있다.

                              ④  악의 대변인(devil’s advocate): 교사가 잘못된 입장을 일부러 대변하여 학생들이 그 입
                                장의 문제점을 스스로 찾아낼 수 있도록 훈련하기도 한다.


                               체험 학습

                                체험 학습(experiential learning)은 현장 견학의 수준을 넘어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과

                              정에 참여하는 경험을 통하여 사회에 대한 인식, 가치 체계, 고차적 사고력, 사회적 기능
                              을 체득해 나가는 과정이다. 즉 체험 학습은 실제 사회 문제의 해결 과정에 참여하는 경
                              험을 통하여 민주 시민의 자질을 형성하고 재구성해 가는 상호 작용의 과정이다. 체험 학
                              습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효과를 지니고 있다(박상준, 2019: 299∼302).

                              ①  교과서 지식과 실제 생활 세계를 연결함으로써 지식을 실제로 체득하고, 지식의 적용
                                능력을 향상한다.

                              ②  여러 사람이 함께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고차적 사고력과 사회적 기능을
                                신장할 수 있다.
                              ③ 학생 자신이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정치적 효능감’을 신장할 수 있다.


                              ④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사회 문제에 관한 관심을 증대하고, 사회

           84   총론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