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7 - ele_society_6-2_tutor
P. 87
참여의 태도와 성향을 형성할 수 있다.
⑤ 사회 문제에 대한 책임감을 키울 수 있다.
<체험 학습의 유형>
유해 환경 이해, 주변 지역의 유해 환경 조사, 유해 환경의 해결 활동(서명
청소년 유해 환경 감시단
운동, 캠페인, 진정서 보내기 등)
환경 오염 이해, 생활 주변의 환경 오염 조사, 환경 오염의 해결 활동(서명
환경 지킴이
운동, 캠페인, 진정서 보내기 등)
지역 문화재의 이해, 지역의 훼손된 문화재 조사, 훼손된 문화재의 보존 활
문화재 지킴이
동(캠페인, 진정서 보내기 등)
청소년 의회의 조직, 청소년 관련 문제의 토의 및 결정, 청소년 문제 해결에
청소년 의회
참여(캠페인, 민원 제기, 입법 청원 등)
학생 자치 법정의 조직, 교내 법적 문제의 재판, 재판 결과의 공지, 재판의
학생 자치 법정
결과에 관한 토론과 반성
시민 단체의 활동 조사, 시민 단체의 시민 교육에 참여, 시민 단체 활동에 참
시민 단체 참여 활동
여(캠페인, 서명 운동, 집회 등)
나의 권리 이해, 생활 주변의 침해된 권리 조사, 침해된 권리 찾기 활동(서명
작은 권리 찾기 운동
운동, 캠페인, 진정서 보내기 등)
역할극
역할극(Role play)은 어떠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역할을 설정하고 실제로 학습자들이
다른 사람의 입장이나 역할을 실연하게 하는 기법이다. 역할극은 감정 이입의 상태로 이
끌어 가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견해나 행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다. 역할극 활동
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각 단계가 어떻게 펼쳐질 것인지와 같은 세부 사항에 대한 사전 계
획과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역할에 몰입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솔직한 감정들에 대해 준비할 필요가 있다. 역할극 자체의 극적인 연기 상연뿐만 아
니라 무대 준비, 토의, 연기하면서 얻게 된 시각들을 내면화하는 것도 중요하다(전숙자,
2002: 380∼381). 역할극 활동은 1단계 문제 제시, 2단계 참여자 선정하기, 3단계 사전
준비하기, 4단계 관찰자 준비시키기, 5단계 실연하기, 6단계 토의·토론과 평가하기, 7단
계 재실연하기, 8단계 토의·토론과 평가하기, 9단계 경험의 공유 및 일반화와 같이 9단계
로 나눠진다(김영석, 2015: 197).
역할극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충분하고 철저한 준비가 있어야 하며, 진지
하게 수업에 임하는 학생들의 태도가 있어야 한다. 교사는 먼저 방향을 정확하게 알려 주
어야 하고, 시나리오가 치밀하게 준비되어야 하며, 각자 자기가 맡은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수업이 끝난 다음에는 평가를 충분히 하여 자기가 겪은
경험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서 공감대를 형성해야 수업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차경수,
모경환, 2017: 165).
3. 사회과의 교수 · 학습 방법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