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0 - ele_math-a_5-1
P. 100
1 클립을 한 번 끼우면 클립은 2개, 클립을 두 번 끼우면 2 리본을 자른 횟수에 1을 더하면 리본의 조각 수가
클립은 3개, 클립을 세 번 끼우면 클립은 4개, 클립을 됩니다. 또는 리본의 조각 수에서 1을 빼면 리본을
네 번 끼우면 클립은 5개입니다. 자른 횟수가 됩니다.
클립을 끼운 횟수에 1을 더하면 클립 수가 되므로
3 기호를 사용하여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낼 때
클립을 끼운 횟수와 클립 수는 대응 관계가 있습니다.
리본을 자른 횟수와 리본의 조각 수를 나타내는 기호
2 꽃 수와 꽃잎 수 사이의 대응 관계는 꽃 수에 5를 는 ◯, △, ☐, ☆, ◇ 등 다양하게 정할 수 있습니다.
곱하면 꽃잎 수가 됩니다. 리본을 자른 횟수를 ◯, 리본의 조각 수를 ◇라고
할 때, ◯+1=◇ 또는 ◇-1=◯와 같이 기호
3 기차의 출발 시각과 도착 시각 사이에는 일정하게
를 사용하여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3시간 차이가 납니다.
4 가야금의 줄 수는 가야금 수의 12배입니다.
4 과자 무게는 과자 수의 50배입니다. 또는 과자 무게
가야금 수를 ◇, 가야금의 줄 수를 △라고 할 때,
를 50으로 나누면 과자 수가 됩니다.
◇×12=△ 또는 △÷12=◇와 같이 기호를 사용
5 과자 무게를 50으로 나누면 과자 수가 됩니다. 하여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700÷50=14이므로 과자는 14봉지입니다.
5 문어의 다리 수는 문어 수의 8배입니다. 또는 문어의
6 각 다각형에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을 다리 수를 8로 나누면 문어 수가 됩니다.
모두 긋고 표를 완성합니다. 문어 수를 ☐, 문어의 다리 수를 △라고 할 때,
완성한 표를 보고 두 양 사이에 어떤 대응 관계가 ☐\8=△ 또는 △÷8=☐와 같이 기호를 사용
있는지 찾습니다. 하여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생활 속에서 대응 관계를 찾아
식으로 나타내요
2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요 38~39쪽
36~37쪽 1 옷 수와 단추 수, 옷 수와 주머니 수에 ◯표
1 (동생 나이)+2=(미현이 나이)에 색칠 2 대응 관계를
서로 대응하는 두 양
2 식 (리본을 자른 횟수)+1=(리본의 조각 수) 나타낸 식
기호 단추 기호 ◯\6=△
3 ◯, , ◯+1=(또는 -1=◯) 옷 수
◯ 수 △ (또는 △÷6=◯)
4 ‘가야금 수’를 나타내는 기호
3
‘가야금의 줄 수’를 나타내는 기호 △ ‘세발자전거 수’를 나타내는 기호 △
‘ 바퀴 수 ’ 을/를 나타내는 기호 ☐
식 ×12=△(또는 △÷12=)
식 △×3=☐ ( 또는 ☐÷3=△ )
5 이름 민호 이유 문어 수와 문어의 다리 수
사이의 대응 관계는 곱셈식 또는 나눗셈식으로 4 설명 코끼리 수에 4를 곱하면 코끼리의 다리
나타낼 수 있습니다. 수가 됩니다. 코끼리 수를 ☐, 코끼리의 다리
수를 라고 할 때, 기호를 사용하여 식으로
1 동생 나이에 2를 더하면 미현이 나이가 됩니다. 또는 나타낼 수 있습니다.
미현이 나이에서 2를 빼면 동생 나이가 됩니다. 식 ☐×4= ( 또는 ◇÷4=☐ )
98 수학 익힘 5 - 1
20개정_초등_익힘책[517](088~114)정답_수정본-4교.indd 98 2022. 4. 21. 오후 1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