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ele_math_5-2_tutor
P. 15
2 성취기준
초등학교 1~2학년
(1) 수와 연산
수는 사물의 개수나 양을 나타내기 위해 발생하였다. 자연수는 수 세기를 통해 도입되며, 0과
자연수에 대한 덧셈, 뺄셈, 곱셈이 정의된다. 수는 수학에서 다루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으로, 실생
활뿐만 아니라 타 교과나 수학의 다른 영역을 학습하는 데 필수적이다. 또한 사칙계산은 수학 학
습에서 습득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며, 이후 학습을 위한 기초가 된다.
1 네 자리 이하의 수
[2수01-01] 0과 100까지의 수 개념을 이해하고, 수를 세고 읽고 쓸 수 있다.
[2수01-02] 일, 십, 백, 천의 자릿값과 위치적 기수법을 이해하고, 네 자리 이하의 수를 읽고 쓸 수 있다.
[2수01-03] 네 자리 이하의 수의 범위에서 수의 계열을 이해하고, 수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2수01-04] 하나의 수를 두 수로 분해하고 두 수를 하나의 수로 합성하는 활동을 통하여 수 감각을 기른다.
2 두 자리 수 범위의 덧셈과 뺄셈
[2수01-05] 덧셈과 뺄셈이 이루어지는 실생활 상황을 통하여 덧셈과 뺄셈의 의미를 이해한다.
[2수01-06] 두 자리 수의 범위에서 덧셈과 뺄셈의 계산 원리를 이해하고 그 계산을 할 수 있다.
[2수01-07] 덧셈과 뺄셈의 관계를 이해한다.
[2수01-08] 두 자리 수의 범위에서 세 수의 덧셈과 뺄셈을 할 수 있다.
[2수01-09] ☐가 사용된 덧셈식과 뺄셈식을 만들고,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 곱셈
[2수01-10] 곱셈이 이루어지는 실생활 상황을 통하여 곱셈의 의미를 이해한다.
[2수01-11] 곱셈구구를 이해하고, 한 자리 수의 곱셈을 할 수 있다.
(가) 학습 요소
덧셈, 뺄셈, 곱셈, 짝수, 홀수, +, -, ×, =, >, <
(나)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자연수가 개수, 순서, 이름 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음을 알고, 실생활에서 수가 쓰이는 사례를
통하여 수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한다.
• 수 세기가 필요한 장면에서 묶어 세기, 뛰어 세기의 방법으로 수를 세어 보고, 실생활 장면에서
짝수와 홀수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 두 자리 수를 10개씩 묶음과 낱개로 나타내게 함으로써 위치적 기수법의 기초 개념을 형성하게
한다.
• 수를 분해하고 합성하는 활동은 20 이하의 수의 범위에서 한다.
• ‘더한다’, ‘합한다’, ‘~보다 ~ 큰 수’, ‘~보다 ~ 작은 수’, ‘뺀다’, ‘덜어 낸다’, ‘합’, ‘차’ 등의 일상
용어를 사용하여 덧셈과 뺄셈의 의미에 친숙하게 한다.
• 덧셈은 두 자리 수의 범위에서 다루되, 합이 세 자리 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1.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13
20개정_초등_지도서[520](008~072)-총론앞_수정본-3교.indd 13 2022. 4. 27. 오후 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