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5 - ele_science_3-1_tutor
P. 205
과학과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법 수업 도우미 애벌레가 알껍데기를 갉아 먹는 것은 알껍데기에 영
• 과학적 탐구 능력 배추흰나비 알, 애벌레, 번데기, 어른벌레를 양분이 풍부하기 때문이며, 흔적을 없애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
돋보기, 스마트 기기 등의 다양한 관찰 도구와 자를 이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여 관찰하게 한다. • 애벌레는 어떤 특징이 있나요? 2
단원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배추흰나비가 자라면서 변하는 모습을 머리 가슴 배
꾸준히 관찰하여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게 한다. 숨구멍 아홉 쌍
평가기준 예시_관찰 평가(참여도 평가), 보고서 평가
방법 요소 평가기준 상 중 하 가슴발 세 쌍 배발 네 쌍 꼬리발 한 쌍
▲ 배추흰나비 애벌레
생명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배추흰나
- 알에서 갓 나온 애벌레는 몸이 연한 노란색이지만
비의 한살이를 관찰하였는가?
태도 먹이를 먹으면서 초록색이 됩니다.
배추흰나비 한살이 관찰 활동에 책임
감과 자신감을 가지고 참여하였는가? - 몸에 털이 나 있습니다.
- 긴 원통 모양이고 고리 모양의 마디가 있습니다.
관찰 배추흰나비가 자라는 과정에서 나타
평가 난 변화를 관찰하였는가? - 몸은 머리, 가슴, 배 세 부분으로 구분되며 가슴에
탐구
배추흰나비의 한살이를 관찰한 내용 다리 세 쌍이 있습니다.
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였는가? - 기어서 움직입니다.
배추흰나비의 한살이를 설명할 수 있 - 허물을 네 번 벗으며 크기가 30`mm 정도까지 자
지식
는가? 랍니다.
배추흰나비의 한살이 전 과정을 탐구
보고서 한 결과를 잘 정리해 기록하였는가?
평가 관찰 보고서의 양식에 맞게 작성하였
8`mm 12`mm
는가?
▲ 한 번 허물을 벗은 애벌레 ▲ 두 번 허물을 벗은 애벌레
평가 피드백 탐구 수행 과정에서 태도, 탐구, 지식을 상중하로 구분하
여 간략하게 문장으로 피드백할 수 있고, 보고서 내용의 정확성, 구성
의 체계성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
16`mm 30`mm
➋ 배추흰나비 알 관찰하기 ▲ 세 번 허물을 벗은 애벌레 ▲ 네 번 허물을 벗은 애벌레
수업 도우미 애벌레의 몸길이는 움츠렸다 폈다 할 때마다 크게 차
• 알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이가 난다. 따라서 애벌레가 먹이를 많이 먹고 쉴 때 몸길이를 측정하
- 노랗고, 옥수수 열매처럼 주름
는 것이 좋다. 애벌레가 자라는 모습을 타임랩스(저속으로 촬영해 정
이 있습니다.
상 속도보다 빠르게 돌려서 보여 주는 특수 영상 기법)를 활용해 촬영
-1`mm 정도로 작습니다.
▲ 배추흰나비 알 하여 확인할 수 있다.
- 움직이지 않고, 자라지 않습니다.
➍ 배추흰나비 번데기 관찰하기
➌ 배추흰나비 애벌레 관찰하기 • 애벌레가 번데기로 변하는 과정을 관찰해 볼까요?
• 알에서 애벌레가 나오는 것을 부화라고 합니다. 부화 - 애벌레 상태로 15`일 ̄20`일이 지나면 먹는 것을
과정은 어떠한가요? 중단하고 몸의 색깔이 맑아지며, 번데기로 변하기
- 알 속에서 애벌레의 움직임이 보이고, 애벌레가 위해 안전한 곳을 찾아갑니다.
머리부터 나옵니다. - 입에서 실을 뽑아 몸을 묶고 허물을 벗습니다.
- 애벌레는 알에서 나오자마자 알껍데기를 갉아 먹 - 번데기 모습으로 변하면서 단단해집니다.
습니다. - 번데기의 색깔이 주변의 색깔과 비슷해집니다.
2 배추흰나비의 한살이 203